earticle

논문검색

【日本學】

1950년대 시극(詩劇) 운동과 전통극 - 근대 이후 서양문화 수용에 대한 반성 -

원문정보

1950’s Poetic Drama Movement and Traditional Drama ― The Receptor and Reflection of Western Culture after The Modern Times―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review poetic drama campaign developed among novelists, critics, poets, dramatists in 1950s. This movement aims to do away with realism spread in the literary circles and drama world then, and around 1956 the movement develops actively. But previously there was a meeting which reacted sensitively regarding the fusion of poetry and drama. That is ‘Kumo no kai(「雲の会」, Cloud Meeting)’. ‘Kumo no kai’ was formed in 1951 with the head of Kishida Kunio. This group which deployed the activity of criticism centered on the magazine『Engeki(演劇, Drama) 』 put an end of more than 3 years’ activity with Kishida’s death. After then poetic drama movement developed in earnest and a number of people came to put various opinions over poetic drama. Analyzing the opinions, people point out the definition itself of poetic drama is ambiguous, and that the weakness of Japanese since modern times makes it difficult to create poetic drama. And as for the solution, they assert the necessity of the study of Japanese classical dramas. The typical figure Yamamoto Kenkichi, who recognizes Noh(能) as poetic drama, and argue that Noh in itself represents the emotion of community. Therefore, to pursue the form of Noh and drama is the way that modern drama restores lost Theatricality, he mentions. What is revealed in this poetic drama campaign, is the point that Japan in pursuit of westernization after modern times attempted to restore lost tradition and the object to recover the community emotion of the Japanese after the war through it.

한국어

본고는 1950년대에 소설가, 평론가, 시인, 극작가 사이에서 이루어진 시극운동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이 운동은 당시 문단과 연극계에 만연하고 있었던리얼리즘을 타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1956년을 전후로 활발하게 전개된다. 그러나 그 이전에도 시와 극의 융합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한 모임이있었다. 그것이 기시다 구니오(岸田国士)를 중심으로 1951년에 결성된 ‘구름회(雲の会)’이다. 잡지 『연극(演劇)』을 중심으로 비평 활동을 벌인 이 모임은, 그러나 기시다의 죽음으로 3년여의 활동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그 후 시극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많은 사람들이 시극에 대해서 여러가지 의견을 피력하게 되었다. 그 의견들을 분석해 보면, 시극의 정의 자체가애매모호하다는 점, 근대 이후의 일본어의 빈약함이 시극창조를 곤란하게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그 해결책으로서 일본의 고전극 연구의 필요성을주장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야마모토 겐키치(山本健吉)로, 그는 노(能) 를 시극으로 인정하고, 노는 본래 공동체의 감정을 대변하고자 한 것이라고논하고 있다. 따라서 노의 양식과 드라마를 추구하는 것이 현대의 연극이 잃어버린 극장성(Theatricality)을 회복하는 길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시극운동에서 드러나는 것은 근대 이후 서양화를 추구해 온 일본이잃어버린 전통을 회복하고자 한 것, 그리고 그것을 통해 패전 후 일본인으로서의공동체적 감정을 회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어

本稿は、1950年代に小説家、評論家、詩人、劇作家の間で行われた詩劇運動につい 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の運動は当時文壇や演劇界において蔓延していたリアリズ ムの打破を目的としたもので、1956年を境に活発に展開される。しかし、その前にも すでに詩と劇の融合に注目した会があった。それが岸田国士を中心として1951年に結 成された「雲の会」である。雑誌『演劇』を通して批評活動を行っていたこの会は、しか し、岸田の死によって3年余の活動に終止符を打つことになる。 その後、詩劇運動が本格的になされ、多くの人が詩劇について意見を披瀝すること になる。それを分析してみると、詩劇の定義の曖昧さ、近代以後の日本語の貧弱の問 題が詩劇創造における難しさとして指摘されていることがわかる。その解決策として ギリシャの悲劇に注目し、ひいては日本の古典劇の研究の必要性を主張することにな る。その代表的な人物が山本健吉で、彼は能を詩劇として認め、それが元々共同体の 感情を代弁するものとして作られたことを述べている。したがって、能の様式やドラ マを追求することが現代の演劇が失ってしまったシアトリカリテイを回復させるのに 繋がると主張した。 これらの詩劇運動から浮き彫りにされるのは、近代以後西洋化を目指してきた日本 が失った伝統への回復、そして、それを通した戦後日本人としての共同体の感情の回 復で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

목차

<要旨>
 Ⅰ. 서론
 Ⅱ. ‘구름회(雲の会)’와 이상적인 연극상
 Ⅲ.시와 드라마(Drama)의 공존 - 시극을 둘러싼 논의와 신극(新劇)
  1. 시극(詩劇)이란 무엇인가?
  2. 일본어의 빈곤함과 대사의 결함
  3. 드라마와 극장성(Theatricality)의 회복
 Ⅳ. 야마모토 겐키치(山本健吉)의 시극론
 Ⅴ.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김정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일본문화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