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영어
The Ilgwannyogo is a written work of unknown authorship, with all extant fourteen editions having been copied by the Japanese. The first half describes the diplomatic formalities and customs of the Chosŏn mission to Japan, while the latter half recompiled articles on the Japanese from Sin Yuhan’s Haeyurok, with the last section containing poems exchanged between Japanese and the Chosŏn diplomats in the jongmyo year(1747) in no particular order. The record is thought to be a booklet written by one of the Chosŏn diplomats as it contains the Chŭngjŏnggyorinji along with other primary sources, suggesting it was meant order to prepare Korean envoys with knowledge of Japan before their diplomatic missions. According to Japanese records, the Ilgwannyogo passed into Japanese hands in 1748 and 1764. The fact that the Koreans were extremely cautious about the leaking of mission records in Japan after the Imjin War makes the fact that it ended up accidently in Japanese hands and copied after 1748 an extremely rare example. The multiple editions and their dissemination show that Japanese Confucian scholars were curious about the nature of the diplomatic missions, and the Japanese diction that also appears in the process of making multiple copies shows that there was a movement to edit this work for Japanese tastes. The extant copies of the Ilgwannyogo number fourteen, either copied or recopied by Japanese and can be separated into two categories: 1) Copies by the scholar Ota Kenpo of the Kenen school, which show that the Ilgwannyogo was recognized as part of the basic literature on Chosŏn in Japan and 2) Copies by the Confucian scholar Okada Shinsen of Owari Domain possessed by Ito Keisuke, which shows that the Ilgwannyogo was used until the Meiji era in research on Chosŏn. Although the Ilgwannyogo is difficult to label as a normal emissary record due to its systemic peculiarities, it is almost the only emissary record to pass into the hands of Japanese individuals and used as a text to conduct research on Chosŏn until the Meji era.
한국어
『일관요고(日觀要考)』는 작자미상의 문헌으로, 현재 14종 가량의 이본이 남 아있으며, 필사자는 모두 일본인이다. 전반부는 통신사행과 관련된 외교 의례 및 관례가 기술되어 있고, 후반부는 신유한의 『해유록』에서 발췌한 일본 관련 기사가 재편집되어 있으며 마지막에 정묘년 창수한 일본 인물 일부가 일정한 체계 없이 기술되어 있다. 1747년 통신사행원 가운데 누군가가 일본 사행을 대비하여 작성 해둔 책자로 추정된다. 일본 쪽 기록에 따르면 1748년, 1764년 연이어 『일관요고』가 일본 쪽으로 흘러들어가게 되었다. 현전하는『일관요고』는 필사기에 따라 두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겐엔 학파 계열의 학자인 오타 겐포에 의해 필사된 것으로, 이 계열을 통해 『일관요고』는 일본 내 조선 정보지로서의 기초 문헌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 른 하나는 오와리번의 유학자 오카다 신센의 필사본으로, 이토 게이스케의 소장본 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계열을 통해 메이지 시대에 이르기까지 일관요고가 조 선 연구의 자료로서 일본 학자에게 유효했음을 알려준다고 할 것이다. 일관요고는 체제의 특성상 일반적인 사행록으로 다루어지기 어려우나, 일본 내로 유전된 거의 유일한 통신사행 관련 개인 기록물이며, 일본 내에서 조선 정보 에 대한 기본 자료로 인정받았고 메이지시대까지 조선 연구의 대상 텍스트로 활용 되었다.
목차
1. 머리말
2. 『일관요고(日觀要考)』의 구성
3. 『일관요고(日觀要考)』의 이본을 통해 본 전래와 수용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