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석규 시의 고향상실의식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consciousness of losing homelands in Ko Seok-Kyu's poem

정원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ried to study Ko Seok-kyu’s poem world to which he had opened new poetic possibilities in the poetic literature of 1950s. Ko Seok-kyu was a poet and a literary critic who had managed to internalize the existential recognition paradoxically, based on the experience of life and death in a time of war and ravage. In Chapter2, it is analized that Ko Seok-kyu had managed to crystallize fear image by war expressed in his poem and image of battlefield in opposing composition where the quick and the dead co-exist, that is, the irrational horrors of war, violent human nature as a devil and painful griefs on the basis of poetic methodology like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scepticism and defiance and tragedy and comedy. In Chapter 3, it is considered that his trauma by war and national division had changed from space of loss of hometown to space of loss of mental home. His consciousness of orphan was expressed in the shape of loss of self identity and defiance against despair and reality. Therefore, it is studied that longing for home and sence of guilt had more and more intensified consciousness of orphan to narrator and was well expressed in his poem. In Chapter 4, metherhood to him was reflected in mountain, river and sea of hometown, and it was in apposition to image of water, freedom and human primitive impulse of life. Symbolism of water was in direct contact with return to motherhood. And it could be verified that he had tried to recover bankrupt self-identity by return to motherhood but it was a forbidden world, a returnless world and a death world. In Chapter 5, it was verified that Ko Seok-kyu’s paradox of death was acceptance of nonexistence, positive acceptance of death and, at the same time, freeing himself from self as the present existence. Also, it is studied that exposing the internality on the basis of such understanding, he accepted existential volitional symbol as his mission so that he had changed aim of life to will of over-come. Consequently, it can be verified that the feelings of loss of home was caused by existential irrationality and despair from war experience and korean division. He recognized death as “the anticipation of death” because he accepted that death is not end of life but the aggregation of meanings in life. Therefore, Ko Seok-kyu had stepped foot on road of over-come, that is, recovery to original state. Such is symbol of over-come in his life and literature.

한국어

본 논문은 1950년대 시문학에 새로운 시적 가능성을 연 고석규의 시세 계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고석규는 전쟁과 폐허의 시대 상황 속에서 삶 과 죽음의 체험을 바탕으로 실존적 인식을 역설적으로 형상화한 시인이자 비평가였다. 2장에서는 고석규 시에 나타나는 전쟁으로 인한 공포 이미지 와,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대립적인 구도 속의 전장의 이미지, 즉 부정과 긍정, 회의와 반항, 비극과 희극 등의 시적 방법론을 통하여 부조 리한 전쟁의 참상과 악마적인 인간의 폭력적인 본성, 그리고 고통스런 비 탄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고석규의 전쟁과 민족분단 으로 인한 트라우마가 고향의 의미를 상실의 공간을 뛰어넘는 심리적 부재 의 공간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고석규의 ‘고아의식’은 자기 정 체성의 상실, 절망감과 현실에 대한 반항감으로 표출되고 있었으며, 그로인한 그리움과 죄의식은 화자에게 ‘고 아’라는 의식을 더욱 심화시키면서 그 의 시 속에서 형상화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고석규에게 모성 은 고향의 산과 강, 바다에 투영되어 물의 이미지와 자유, 그리고 인간의 근원적인 삶의 충동과 동격을 이루고 있었으며, 물의 상징성은 모성으로의 회귀의식과 맞닿아 있었다. 고석규는 모성애로의 회귀를 통하여 파산된 자 기 정체성을 되찾고자 하였지만 그곳은 고석규에게 금지된 세계이고 회귀 할 수 없는 세계이며 죽음의 세계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고 석규의 죽음의 역설이 무(無)의 수용이며 죽음의 적극적인 수용임과 동시 에 현존재로서의 자아를 벗어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조건으로 ‘내 면성’을 내세운 고석규는 실존의 의지적 표상을 자신의 사명으로 받아들여, 삶의 방향을 ‘초극’의 의지로 전환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고 석규 시에 나타나는 고향상실의식은 6․25 전쟁체험과 분단으로 인한 실존 적 부조리와 절망으로 인하여 배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석규는 죽음이 생의 종말이 아니라 오히려 생의 의미가 집약된 것으로 보았기 때 문에 죽음을 ‘죽음에의 선구’로 자각하였다. 그러므로 고석규는 원상태로의 회귀, 즉 초극의 길을 내딛게 되었던 것이다. 이것이 고석규의 삶과 문학 의 초극의 표상이다.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전쟁과 공포체험의 내면화
 3. 실향의 주체와 고아의 탄생
 4. ‘물’의 상징성과 ‘모성’으로의 회귀 본능
 5. 죽음의 역설과 초극의 의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원숙 Jung Wonsuk. 강원대 대학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