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외계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효과에 관한 연구 - 문화복지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of Alienated Elderly - With a Focus on Cultural Programs of Social Welfare -

김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searched objectively how cultural and social capital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alienated elderly. The report 'The In Depth Evaluation of the Culture and Leisure Industry 2012' was used as material and the analyzed group consisted of 202 alienated elderly aged 65 or older.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ultural and social capital to find out the elemen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lienated elderly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the method of research. The control variables were sex, age, religion,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background, economic status and disability in the analyzed group. The result of the research proved that if there was a higher investment in cultural and social capital, the quality of life for alienated elderly is higher.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has proven the effect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 regarding improvement the quality of life and this result has underlined the implication of elderly welfare.

한국어

본 연구는 소외계층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 증한 연구이다. 분석자료는『2012년 문화여가지원사업군 심층평가』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문화복 지 지원사업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소외계층 노인 202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소외계층 노인의 삶의 질 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독립변수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을 투입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위계 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소외계층 노인의 성 별, 나이, 종교, 교육 수준, 다문화 유무, 생활 수준, 장애 유무를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소외계층 노인의 문 화자본과 사회자본이 높아질수록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복지 지원사업에 참여한 소외계층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효과를 검증하였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노인복지에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II. 이론적 고찰
  1. 사회감성적선택이론 (Sociomotional Selectivity Theory)
  2. 문화복지의 패러다임과 삶의 질
  3. 문화복지를 통한 사회자본, 문화자본, 삶의 질의 관계
  4. 주요 변수별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모형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측정도구
 IV.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3. 소외계층 노인의 문화자본, 사회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아 Kim, Eun-Ah. 숭실대 기업 & 사회연구센터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