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some aspects of post-colonialism shown in Gwadogi(1923), a series of unpublished manuscripts left by the late Chae, Man-Sik and published posthumously as his first novel. Because the first and last parts of his work are missing and his writing is not polished, the quality of the novel has largely been unappreciated. However, the novel reveals the conflicting mentality of young intellectuals from Chosun ---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struggling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zation, conservatism and progress. The reader of Gwadogi, observing the main characters’ views towards marriage and love, sees that their desires for modernization are symbolized by the men’s attitudes towards women. All three main characters are students studying in Japan. Each wants to divorce his wife, whom they married at an early age, and flirts with infidelity towards the modern women, who are emblemized as Japanese women. In this way, they renounce being ruled by others and show their disdain for pre-modern culture, or for that matter the lack of modern culture --- with pre-modern culture symbolized in the work by an early marriage. This also shows desire being integrated and adapted to their newly adopted culture and assuming the form of free love. We see this, in particular, in the main characters’ desires for Mun-Ja, a Japanese woman. Acquiring her would give them the status of Japanese men and thus their desire for her reveals their desire to be recognized as citizens of Imperial Japan. However, their desire to accept modernization by imitating the Japanese brings each of them intrapersonal conflict. The women characters categorized as old-fashioned, modern, or Japanese women in his work are objects of men’s desires and they form their own system of ranks among themselves. The different localities where the novel takes place also reveal the characters’ desire for modernization and the conflicts between traditionand modernization. They long for modern cities and a western lifestyle, even though Tokyo, where they study, is already the epicenter of westernization in the East as well as the heart of Japanese imperialism in East Asia. In other words, Tokyo, the capital city of the ruling nation, is both the place where the main charactersare able to expand their culture while also stimulating the growing clash between the conflicting Japanese and Korean cultures and individuals that belong to them. The Japanese and Korean characters in the novel do not have distinct physical feature. The only possible thing that distinguishes Koreans from Japanese is their language. The three main characters seek to imitate Japanese ritualism and Japanese people by speaking fluent Japanese. Yet they fall short of accomplishing this, and instead develop hybrid cultural patterns. Because they are foreigners living in Japan familiar with both languages, what uniquely identifies them is their mother language, which hampers their total assimilation into Japanese society. The way in which they identify themselves as Korean by using the Korean language suggests what would happen in Korea in the post-colonial period.
한국어
이 논문은 채만식의 처녀작인 중편 「과도기」(1923)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양상 을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미발표 유고(遺稿)인 이 작품은 첫 장과 끝 장이 분실되었으며 창작의 미성숙으로 작품성 역시 인정받지 못한 작품이지만, 전 통과 근대, 보수와 진보 사이에서 충돌하는 당시 식민지 지식인 청년들의 모순된 내면심리를 잘 드러내고 있다. 「과도기」에서는 주인공들의 결혼관, 연애관을 통해 여성으로 표상된 근대화의 욕망을 살펴볼 수 있다. 동경 유학중인 세 주인공은 모두 조혼(早婚)한 아내와 이 혼을 원하고 있으며, 신여성 혹은 일본여성과의 연애로 갈등을 겪고 있다. 이것은 조혼(早婚)이라는 ‘부재로 인식되는 피식민자의 문화’를 부인(否認)하고, ‘자유연애’ 라는 신문명에 동화되어 규율화 되고자 하는 욕망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일본 여성인 문자에 대한 욕망은 자신을 일본 남성의 위치로 치환시킴으로써 제국 신 민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에 대한 수용 욕구는 이중적인 심리를 지닌다. 그리고 구여성, 신여성, 일본여성으로 구분되는 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모두 남성 주체에 의해 욕망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그 속에서 위계를 형 성하고 있다. 작품의 공간 역시 주인공들의 근대화 욕구와 근대와 전통 사이의 충돌을 잘 보 여준다. 주인공들은 근대화된 도시와 서구화된 의식주를 동경한다. 그러나 이들이 유학하는 국제도시 동경은 근대화된 공간이면서 아시아를 통치하고자 하는 일본 의 제국주의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즉 동경이라는 지배국의 수도는 신문 명에 대한 주인공들의 수용 욕구를 증폭시키는 공간이면서, 내지인들과 조선인인 이들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는 분열의 틈새를 보이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인과 비교하여 피부색 등의 현실적, 물리적 차이점이 없는 조선인에게 언 어(조선어)는 일본인과 자신들을 구별시키는 변별점으로 작용한다. 세 주인공은 일본식 의식주를 모방하고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함으로써 일본인을 모방하지만 이들의 모방은 완벽할 수 없는 ‘혼종성(hybridity)’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적 정체성 자각은 한국 탈식민주의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여성으로 표상된 근대화의 욕망
3. 식민 공간과 여성의 위계화
4. 혼종화된 도시 공간 동경(東京)과 신문명 동경(憧憬)
5. 언어적 자각과 분열의 틈새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