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日 도시 여성의 문화소비에 따른모던걸의 표상 - 上海와 東京의 도시여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presentation of Modern Girl According to Cultural Consumption of Chinese and Japanese Women Living in Cities - Shanghai and Tokyo -

중・일 도시 여성의 문화소비에 따른모던걸의 표상 - 상해와 동경의 도시여성을 중심으로 -

이행화, 김형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na and Japan came to be incorporated into global capitalist market economy in the wake of their respective openings to the western world from the nineteenth century up to the twentieth century, under whose circumstance the major metropolitan areas in these two countries – mainly Shanghai and Tokyo – concomitantly played a role as a contact zone as well as an exhibition site for capitalist market economy by means of concentration of capitals. The cities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their modernization into a more and more chaotic space where both the traditional and modern and the poor and wealthy coexist conflictingly simultaneously; there needed to be the beings who are capable of establishing and safeguarding new values and frameworks in the process of gradual erosion of existing traditional values and frameworks in the cities. In both China and Japan emerged modern women in the 1920s and 30s as modern lifestyle, born thanks to the then global diffusion of western lifestyle and consumption culture, affected these two countries, and they tend to be divided generally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modern girl as an individual, and the second group wise and faithful housewife as an exemplary woman taking good care of household with responsibility. Although Chinese and Japanese women living in cities in the 1920s and 30s have been keen on chasing the fantasy of the socially-demanded ideal image of woman and on acting as the defender of the state- promoted social values, no one will also deny the fact that women’s cultural consumptions enabled the development of modern cultures and that their materialistic consumptions have contributed enormously to the growth and improvement of urban economy. All in all, besides that it is worth the attention that women in this period have actively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to emancipate themselves from men’s domination/oppression, the fact that women, together with men, existed and functioned as part of urban society is itself worth researching.

한국어

19세기에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중국과 일본은 서양에 개방되면서 세계 자본주의 시장체제에 편입되었고 주 요 대도시들은 바로 자본의 집약을 통해 자본주의 경제의 진열장이자 창구로서 역할하게 되었다. 도시 근대 화를 추진하면서 도시는 전통과 근대, 빈궁과 사치가 병존하는 혼란스러운 공간이 되었고 기존의 전통적 가 치와 구조가 상실되어 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와 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보존할 존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양국 모두 1920-30년대 서구의 생활양식과 소비문화의 확산으로 모던한 생활이 퍼지면서 신여성이 등장하는 데, 신여성을 개인으로서의 모던걸과 가정을 유지하는 모범적인 여성으로서 현모양처로 나누어진다고 볼 수 있다. 1920, 30년대 중국과 일본의 도시 여성이 사회적으로 요구된 여성상의 환영을 좇고자 하였고, 국가에서 권장 하는 사회적 가치의 수호자로서 움직여졌다고 하더라도 여성들의 문화적 소비가 근대적 문화의 발전을 낳고 물질적 소비가 도시 경제의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하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당시의 여성들은 남성의 억압에서 해방되고자 정치적인 운동을 한 점에서도 주목받을 만하지만 남성과 더불어 도시 사회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기능하고 있었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1. 들어가며
 2. 中日 근대 도시공간 속 여성의 역할
 3. 中日 신여성의 일상적 문화 소비
 4. 중・일 모던걸의 외양
 5. 나오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이행화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외래교수
  • 김형열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