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 Sample of Traumatized University Students

지은혜, 조용래

피인용수 : 2(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temporary cognitive model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PTSS), and recent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ay also play a role in psychological problems. This current study examined the unique effect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PTSS. Two hundred twelve traumatized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TSS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s well 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PTSS whe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were controlled for, whereas its unique effect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dditionally. Of the five dimension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and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TSS. And of the five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ly understanding of emo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TS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imed at modifying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especial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and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as well as enhancing understanding of emotions, in order to alleviate PTSS of traumatized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한국어

현대적인 인지모형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증상을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다양한 정신장애와 심리적 문제들을 예측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정서조절곤란도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고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외상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류된 대학생 212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는 우울증상, 불안증상, 스트레스 증상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하거나 그렇지 않든 간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은 우울증상, 불안증상 및 스트레스 증상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를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나아가,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5가지 차원들의 독립적이고 상대적인 기여도를 탐색해 본 결과, 미래/가치관련 부정적 자기와 외상반응 관련 부정적 자기 둘 다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의 5가지 차원들의 독립적이고 상대적인 기여도를 탐색해 본 결과, 정서이해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일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그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적절하게 예방하는 데 있어 미래/가치관련 및 외상반응 관련 부정적 자기의 개선과, 정서 이해의 증진에 초점을 맞춘 치료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분석방법
 결과
  참가자들이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한 외상사건의 유형 및 그 분포
  본 연구에서 측정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고유효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고유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은혜 Eunhye Jee.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한림응용심리연구소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한림응용심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 종류 및 발생률네이버 원문 이동
  • 2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Trauma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Adolescents네이버 원문 이동
  • 3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 and Cognitive Changes in Adolescents네이버 원문 이동
  • 4안현의, 박철옥, 주혜선 (2013). 성별에 따른외상관련 정서가 PTSD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5), 2363-2378.
  • 5The Epidemiological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Area네이버 원문 이동
  • 6A Field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 Community after Typhoon Rusa네이버 원문 이동
  • 7Assessing Emotion Dysregulation네이버 원문 이동
  • 8Factor structure,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PTCI) in a sample of traumatized undergraduatesearticle 원문 이동
  • 9The effect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symptoms in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earticle 원문 이동
  • 10자연재난 생존자들의 장기적인 심리적 증상들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 외상 당시의 해리, 외상 후 부정적 신념 및 사회적 지지 부족네이버 원문 이동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