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들의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

원문정보

Roles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Hypochondriacal and Social Anxiety Symptoms among Undergraduates

김지혜,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hypochondriacal and social anxiety symptoms. On the basis of cognitive models of and earlier studies on emotional disorders including anxiety disorders, the model in which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and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would be specific predictors of hypochondriacal and social anxiety symptoms, respectively and emotion dysregulation would be common predictor of both symptoms, was proposed(Model 1). One alternative model in which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would be a specific predictor of hypochondriacal symptoms and both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would be specific predictors of social anxiety symptoms, was specified(Model 2). Structural equating modeling(SEM) approa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oodness-of-fit of the two models in a sample of 434 university students. SEM revealed that both of the two models fit the data adequately, and Model 2 was superior to Model 1.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whereas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was a specific predictor of hypochondriacal symptoms, both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were specific predictors of social anxiety symptoms. Furthermore, they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ole of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in order to treat nonclinical young adults' hypochondriacal symptoms and the role of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order to treat their social anxiety symptom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인지적 취약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불안장애에 대한 인지모형과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두 가지 모형을 상정하였다.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고유변인으로 각각 신체감각관련 인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을, 그리고 앞의 두 증상들에 대한 공통된 예측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을 상정한 모형(모형 1)과, 그 대안모형으로 각 증상에 대한 고유변인은 앞의 모형과 동일하지만, 추가로 정서조절곤란을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고유한 예측변인으로 가정한 모형(모형 2)을 수립한 후, 대학생 434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적용하여 두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해 보았다. 분석 결과, 모형 1의 적합도는 좋았으나, 정서조절곤란에서 건강염려증상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2의 적합도 역시 양호하였으며,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모형 1과 모형 2를 직접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자승 차이 검증을 한 결과, 더 간명한 모형인 모형 2가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신체감각관련 인지가 건강염려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 둘 다 사회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건강염려증상을 치료할 때에는 신체감각관련 인지에, 그리고 사회불안증상을 치료할 때에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 둘 다에 초점을 맞춘 개입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각 측정변인별 상관계수 및 평균과 표준편차
  측정구조의 적합도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모형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혜 Jeehye Kim.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한림응용심리연구소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한림응용심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