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원문정보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on Posttraumatic Growth in Trauma-exposed College Students

박모란, 유성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xperiential avoidance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ssociated with either dysfunctional or functional adaptations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wofol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Posttraumatic Growth (PTG) in college students with lifetime history of traumatic even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experiential avoidance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TG even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s and time elapsed since the most distressing traumatic event. Secondly, the study aimed to validate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in trauma-exposed college students in Korea. A total of 619 undergraduates who have exposed to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time includ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web-based survey assessing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agnosis Scale, Korean version (PDS-K).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even factors of the MEAQ including behavior avoidance, distress aversion, procrastination, distraction/suppression, repression, denial, and distress enduranc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the distress aversion and distress endurance factor of the MEAQ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s and elapsed time since the trauma. Other factors such as behavior avoidance, procrastination, distraction/suppression, repression, and denial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after adjustment. Findings indicated that people who reported psychological growth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were less likely to engage in distress aversion and more likely to have ability to tolerate distress.

한국어

경험회피는 다차원적인 심리적 개념으로 외상 경험자들의 심리적 기능과 역기능 모두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하위요인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가장 고통스러운 외상경험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웹 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 한 번 이상의 외상 사건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만 18세에서 30세 이하의 대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MEAQ), 외상 후 성장 척도(PTGI),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PD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본 연구를 위해 번안한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회피행동, 고통혐오, 지연행동, 주의분산/억제, 억압, 부인, 고통감내의 7요인이 추출되었고 요인별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하위요인 중 고통혐오와 고통감내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경험회피 하위요인 중 회피행동, 지연행동, 주의분산/억제, 억압, 부인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는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 경험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하더라도 고통을 회피하지 않고 다루는 능력이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다차원적 경험회피척도(MEAQ)의 요인구조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PTG 및 PTSD 증상과의 관계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PTG의 관계에 대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모란 Moran Park.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유성은 Sungeun You.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