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fficacy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원문정보

잠재 성장 모델 분석을 통한 사회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효과검증 연구

Hee-Jung Kim, Jung-Ae Lee, Kang-Seob Oh, Se-Won L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CBGT) on social anxiety disorder using latent growth model (LGM) to estimate average growth trajectori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longitudinal treatment outcomes. LGM is able to deal with missing data using full-information maximum-likelihood (FIML) estimation. We analyzed piecewise latent growth for nonlinear growth functions to examine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post-treatment. Our CBGT involved Korean culture-specific variations in classical CBGT during weekly 2-hour sessions over the course of 8 weeks. We assessed 36 pati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using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and a brief vers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on five occasions (baseline, 4 weeks, 8 weeks, 4-week follow up, and 8-week follow up). As expected,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reatment period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both during treatment and post-treatment. We could delicately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treatment effect with LGM.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CBG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and the feasibility of using LGM to analyze repeated measures of data on clinical treatment, and longitudinal studies examining treatment effect could use LGM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에게 인지 행동 집단 치료를 실시하여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된 사회 불안 증상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에 유용한 잠재 성장 모형을 활용하였다. 더욱이, 치료 효과의 비선형적인 변화 추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분할 잠재 성장 모델 분석을 이용하였다. 분할 잠재 성장 모델 분석은 치료 회기 동안의 사회 불안 증상 변화와 치료 종결 이후의 사회 불안 증상 변화에 대한 추이를 각각 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의 인지 행동 집단 치료는 한국형 문화에 특성화된 사회 불안 증상을 고려한 심리교육, 인지재구조화, 노출 훈련이 포함되어 있으며, 1회기에 2시간씩 8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사회 불안 장애 환자는 36명이었으며, Liebowitz 사회 불안 척도(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단축형(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를 5번에 걸쳐 반복 측정하였다(치료전, 치료 4주, 치료 8주, 치료 후 4주, 치료 후 8주). 연구 결과, 치료 기간 동안 사회 불안 증상과 회피 양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치료 회기 동안과 치료 후 8주까지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아울러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인지 행동 집단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 측정되는 자료를 분석하기에 용이한 잠재 성장 모형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목차

Abstract
 Methods
  Procedure
 Results
  Trajectories of social anxiety symptoms
  Individual differences in changes in social anxiety symptoms
  Variables moderating treatment effects
  Treatment effects of Cohen’s d
  Effects of depressed mood
 Discussion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Hee-Jung Kim 김희정. Hee-Jung Kim
  • Jung-Ae Lee 이정애.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Kang-Seob Oh 오강섭.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e-Won Lim 임세원.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