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석축형제철로(石築型製鐵爐)의 조업방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of Stone Build Type Iron Manufacture Furnace

신경환, 김권일, 최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one made furnace is a type of furnace in Choseon era as the iron mines around Ulsan Dalcheon distribu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such as cylinder type-Box type Iron Manufacture Furnace to the known material and the structure of the furnace, ventilation system, a lot of products, etc. there is a difference. This paper were compared for investigate how archaeological and folk and metal analyzes to working the stone made furnace. Accordingly, bring in working as two step, primary working step : reduction in temperature iron soil and iron sand solid reducing action is returned up the tangled with the previous state of the raw materials and steel generate, secondary working step : supersaturation of carbon in the atmosphere of the furnace hot metal is formed, then the prepared through outflow mould (based Iron lump Edition) flowed in the pig iron production. That is primary working step corresponds to the smelting process, secondary working step corresponds to the dissolved melting process. This workin method is innovation at technical history since existing reduction in cylindrical type and box type iron masses in the form of a mixture, return proto-reduction lump step forward in the way it was produced, Iron soil. Seasons pig iron as raw materials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한국어

석축형제철로는 한반도 동남부지역에 집중 분포하는 조선후기 제철로의 한 유형으로, 기존에 알려진 제 철로와는 구조와 원료, 송풍방식, 생산품 등에서 차이가 있다. 석축형제철로의 특징은 보강석축으로 인해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토철·사철 등의 분말상 원료를 주로 사용해 탄소과포화상태 분위기의 노에서 선철을 대량으로 생산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석축형제철로의 조업방식 규명을 위해 민속·고고·금속학적 분석 자료를 비교검토하였으며, 일부 유적에 대해서는 현장을 직접 답사해 시료를 채취한 후 금속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석축 형제철로의 2차에 걸친 조업방식을 상정할 수 있었다. 1차 조업에서는 토철·사철 등이 저온고체환원법에 의한 환원작용으로 반환원괴가 형성되고, 이 반환원괴를 소재로 한 2차 조업에서는 탄소과포화상태의 노 내 분위기에서 용융선철을 생산한 것으로 추론되었다. 즉 1차 조업은 제련공정에, 2차 조업은 용해정련공 정에 해당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 원통형·상자형 제철로에서 반환원괴를 생산하던 방법에서 진일보해 토철·사철을 원 료로 선철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조업기술로, 제철기술사적으로 큰 변혁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 다. 삼국시대∼조선 중기까지 대부분의 제련로는 원통형이었고 조선 후기 일부지역의 상자형로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각각 철광석과 사철을 제련해 괴련철과 선철이 혼합된 반환원괴를 생산했던 것으로 이해 된다. 이에 비해 석축형제철로는 현대의 제철기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주조철기 제작에 필요한 선철을 대 량생산한 획기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유적 현황 및 연구사 검토
  1. 유적 현황
  2. 연구사 검토
 Ⅲ. 자료의 분석
  1. 민속자료의 검토
  2. 고고자료의 검토
  3. 금속학적 분석자료의 검토
 Ⅳ. 석축형제철로의 조업방식
  1. 제철로의 구조적 특징
  2. 원료 및 철재의 금속학적 특성으로 본 생산품
  3. 조업방식의 복원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경환 Kyung-hwan Shin. 금속기술연구소
  • 김권일 Kwon-il Kim.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 최영민 Young-min Choi. 금속기술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