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 예안리 고분 출토 인골의 평균수명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verage Lifespan of the Tomb owner from Yimdang site, Gyeongsan and Yeanri site, Gimhae

정상수, 최봉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dy on the average lifespan of those people who lived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is insignificant. So we are trying to find the average lifespan of the people by the human skeletons which were found from Yimdang site and Yeanri site. Though the appraisal result from the appraisal report of human skeletons, we has analyzed the minimum age, maximum age and the average age. After that, with the average age, we have studied the average age between 4 century and 7 century and average lifespan of the people which were found from the tombs found similar times from that period. The skeletons from the Yimdang site shows that the average lifespan is totally 30.4 years old, and the lifespan from the type of tombs were 29 years old. But at the skeletons form the Yeanri site were 26.6 years old and others were 19.5 years old.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opinion of Jung’s the average lifespan by Yimdang site but there is small difference on the view of Kim’s the average of death time age by Yeanri site. Kanewaka Tosiuki(兼若逸 之)’s the average life span by the reports of village in Silla(新羅村落文書) is 20-25 years, and hard to believe that they were over 30 years. This shows that the age is almost similar with Yeanri and the maxium age from Yimdang. In conclusion it can notice that the average lifespan have deep connection with the status of site. In the future a assignment by isotopic evidence of diet will try on. And this shows that the jar coffin is for children’s tomb.

한국어

지금까지 우리나라 고고학에서는 삼국시대 유적·유구·유물 등은 많이 연구되었으나 당시 살았던 사람들 의 평균수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이에 인골이 많이 출토된 영남지역의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김해 예안리 고분을 통해 당시 유적에 살았던 사람들의 평균수명을 찾고자 한다. 본고는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김해 예안리 고분의 인골 감정 보고서의 연령 감정 결과(성인·어린이 등 정 확한 연령이 아닌 경우는 제외)를 기초로 최소 연령과 최대 연령 그리고 평균 연령을 도출하여 4세기에서 7세기까지 시기별 평균수명과 이 시기에 만들어진 유구의 묘제별 평균수명을 알아보았다. 경산 임당지역 고분에서 출토된 인골을 통한 시기별 전체 평균수명은 30.4세이며, 유구의 묘제별 전체 평 균수명은 29세이다. 김해 예안리 고분에서 출토된 인골의 시기별 전체 평균연령은 26.6세이고, 유구의 묘 제별 전체 평균수명은 19.5세이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수가 언급한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성년(약년-성년)으로 본 결과와 거의 비슷하 지만, 김두철의 예안리 고분으로 본 사망평균연령 25-(34)세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또 신라촌락문서를 이용한 兼若逸之의 평균수명은 20-25세 사이이며, 30세를 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견해와 예안리 고분의 평균수명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은 兼若逸之의 최대치와 비슷하다. 이들 두 유적을 비교하였을 때 삼국시대 사람의 평균수명은 고분이 지닌 위상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콜라겐 분석 등을 이용한 유적의 식생활 분석을 통해 추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옹관묘는 이들 두 고분에서 평균연령이 낮은 것으로 보아 어린이를 위한 묘제임을 다시 밝힐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경산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1. 경산 임당지역 고분과 출토 인골
  2. 경산 임당지역 고분의 평균수명
 Ⅲ. 김해 예안리 고분의 평균수명
  1. 김해 예안리 고분과 출토 인골
  2. 김해 예안리 고분의 평균수명
 Ⅳ. 평균수명의 비교·검토
  1.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 예안리 고분 평균수명의 비교·검토
  2. 『신라촌락문서』 의 평균수명과 비교·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상수 Sang-soo Jung. (재)한빛문화재연구원
  • 최봉인 Bong-in Choi. (재)울산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