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고고학에서 적색안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원문정보

Review on the Archaeological Studies on Red Pigment in Japan

河野摩耶, 南武志, 建石徹, 庄田慎矢, 今津節生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archaeological studies on red pigment in Japan in order to capture the attention in Korean archaeology. Although until now red pigment has not been regarded as major archaeological remain, recent studies are changing this situation. Considering this, the authors introduced the research result of colcothar in the Jomon period, and cinnabar in the Yayoi and Kofun period. Two sites belong to the Middle and Final Jomon in Nigata prefecture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area. Samples of red pigments were collected not only from the archaeological remains but the natural resources around the sites. As a result, different procurement strategy for pigment is revealed, that is, they got colcothar much more far from their settlement in the Final Jomon, which indicates in this phase they gave higher value on the red pigment than earlier period. On the other hand, surfer stable isotope analysis reveals that the isotope ratio from Chinese and Japanese cinnabar are clearly distinguishable. About 40 sites belongs to the Yayoi and Kofun period were sampled for this analysis. As a result, the selection between Chinese/Japanese cinnabar is different in each region, which indicates the procurement of cinnabar was directly related to the local political units. As a whole, red pigments are very informative archaeological remains and it should be important to work on the Korean material.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적색안료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의 현황을 소개하는 것이다. 적색안료는 아직 고고자료로 충분히 인식되어 있지 않지만, 최근에 들어서서 새로운 성과들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그중에서 특히 죠몬시대의 벵가라와 야요이 및 고훈시대의 수은주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우선 죠몬시대 벵가라의 획득과 이용에 대해서는 니가타현 쯔난정에 소재하는, 죠몬시대 중기 및 만기에 속하는 유적들을 검토대상으로 하였다. 유물과 유적 주변에서 채취한 적색안료 시료에 대한 현미경 관찰을 통한 분석 결과, 시기마다 입수 경로와 선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야요이 및 고훈시대의 수은주에 대해서는 유황동위원소비 분석을 이용하여 일본 각지에서 출토된 수은주 자료가 중국산인지 일본산인지를 식별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일본열도 내에서 중국산 주부터 일본산 주로의 변환 시기와 그 정치적 배경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적색안료는 고고자료로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 한국에서의 활발한 연구도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적색안료의 특징과 선행연구
 Ⅲ. 죠몬(繩文)시대의 벵가라 생산과 유통
 Ⅳ. 야요이(彌生)~고훈(古墳)시대의 수은주(水銀朱) 획득과 유통
 Ⅴ. 맺음말 : 고고자료로서의 적색안료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河野摩耶 Maya Kawano. 近畿大學
  • 南武志 남무지. 近畿大學
  • 建石徹 건석철. 文化庁
  • 庄田慎矢 Shinya Shoda. University of York
  • 今津節生 Setsuo Imazu. 国立九州博物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