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감사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Depression

박미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ower variables of spiritual well-being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in the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depression of Christians. The subjects of study were 339 Christians above age 20 and gratitude scale, spiritual well-being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8.0,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presented by Baron & Kenny (1986)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gra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iritual wellbeing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while showing that spiritual well-be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ower variables of spiritual well-being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depression. Namely, gratitude had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but it had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lower variables of spiritual well-being of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Such result implies that the role of gratitude is important in decreasing Christians’depression an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ing information on a new resource of gratitude and spiritual well-being in decreasing the depression of Christian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consider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의 감사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 상은 20세 이상 기독교인 339명이었으며, 감사척도, 영적 안녕감척도, 우울척 도를 실시하였다.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 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는 영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우울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영적 안녕감은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영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 은 감사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 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영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는 기독교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감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영적 안녕감을 증 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독교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감사와 영적 안녕감이라는 새로운 자원에 대한 자료를 제 공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여는 글
 Ⅱ. 펴는 글
  1. 이론적 배경
  2. 연구방법 및 절차
  3. 연구의 결과 분석
  4. 연구의 논의
 Ⅲ.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미하 Mi Ha Bak. 한영신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