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특성 분석 - 2014년 2월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Long Term High PM Episode Occurred in Feb. 2014

신혜정, 임용재, 김정훈, 정해진, 박승명, 박종성, 송인호, 서석준, 홍유덕, 한진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nation-wide high particulate matter (PM) episode occurred in Feb. 2014. PM10 concent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as starting to increase over 100 μg/m3 from 21:00 21th Feb. in 2014 and lasted as long as 186 hrs. The average PM10 concentration was 139 μg/m3 and 115 μg/m3 at SMA and Bangryung Island(BRI),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PM concentration in major cities in China and the air parcel movement by backward trajectory, it was thought that this episode affected by the long range transport and the domestic stagnation in the former period of episode and the latter period of episode, respectively. In the former of period, sulfate concentration increased without the apparent size evolution implying that sulfate was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by long range transport. In the latter of period, size distribution of organics and sulfate shifted to the smaller size range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particle concentration smaller than 100 nm implying that the secondary organic and inorganic aerosol formation was occurred. In addition, the O/C ratio and mz44/mz43 ratio were deeply decreased in the latter of period implying that the fresh organics was formed. Continuous monitoring of atmospheric chemical composition is essential to provide the science-based data to policy-maker establishing the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y.

한국어

2014년 2월 전국적으로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도권지역의 PM10 농도는 2월 21일 21시부터 100 μg/m3을 초과하기 시작하여 186시간 지속되었다. 수도권과 백령도의 PM10 평균 농도는 139 μg/m3, 115 μg/m3이었다. 중국 주요도시의 미세먼지 농도와 기류의 이동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본 사례는 장거리 이동과 국내 정체의 영향을 순차적으로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례 전반기에 황산염의 크기분포 변화 없이 농도가 증가하여 장거리 이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며, 사례 후반기에는 100 nm 입경의 수농도 증가와 함께 유기성분과 황산염의 크기분포가 작은 입경영역으로 이동하여 이차 생성 유기에어로졸과 이차 생성 무기에어로졸의 생성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례 후반에 O/C 비율과 m/z 44/43 비율이 감소하여 유기성분 생성반응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비롯한 대기화학성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대기질 개선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실험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미세먼지 농도 및 화학조성 특성
  2. 입경분포 및 유기성분 특성 분석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혜정 Hye-Jung Shin.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임용재 Yong-Jae Lim.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김정훈 Jeong-Hun Kim.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정해진 Hae-Jin Jung.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박승명 Seung-Myung Park.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박종성 Jong-Sung Park.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송인호 In-Ho Song.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서석준 Seok-Jun Seo.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홍유덕 You-Deog Hong.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한진석 Jin-Seok Han.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