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명재 성리학의 자주성과 역동성

원문정보

The Dynamic and The Independent Spirit in Myeong Jae’s Neo-Confucianism

최정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onsidering the dynamic and the independent spirit contained in Myeong Jae’s Neo-Confucian theory. One of the issues to which Myeong Jae always gives all his attention is how to realize the true mind in reality. Myeong Jae’s viewpoint on the Principle (理) and the Ether (氣) consists in two contents which the first is the concepts of the Principle and the Ether, and the secon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regards the concepts of the Principle and the Ether, Myeong Jae does not directly determine them in any expression. He just agrees with the statements on Principle and Ether given by Yul Gok Yi I.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and the Ether, Myeong Jae affirms that they cannot be mixed with each other, neither can be separate from each other. This explanation is obviously advanced under the great influence of Zhu Xi’s idea according to which the Principle and the Ether ‘cannot be combined with each other (不相離), neither can be separate from each other (不相雜)’. The aspect which can be regarded as special in Myeong Jae’s theory of mind is the strong awareness of the penetration of the human mind (人心) and the moral mind (道心) as a one from the aspect of ‘innate mind (本心)’. Zhu Xi distinguished the perception of the sensuous desires from the perception of the fidelity and righteousness ( 義理). From this distinction he differentiated human mind (人心) from moral mind (道心). Human mind means the perception of man as a physical creature, such as feeling hungry, thirsty, hot, cold etc. ‘Moral mind’ refers the moral perception of man, for instance the pathetic feeling, the shamefulness when doing something wrong, the unpleasantness with others’ mistake etc. It can be said that Zhu Xi discriminated the ‘human mind’ from the ‘moral mind’ based on the so-called functional difference. Apart from this kind of thought of Zhu Xi, Myeong Jae regards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mind and moral mind as the problem of excess and deficiency. Myeong Jae calls the absence of excess or deficiency in human mind the ‘uprightness of innate mind’ (本心之正), and he states that this ‘uprightness of innate mind’ is the very moral mind. Moreover, he thinks that the Ether (氣) takes the lead over the human mind, and the Principle (理) takes the lead over the moral mind, this point can be seen as a step diverging from the main viewpoint of Yul Gok school. This opinion can be considered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pirit which encourages him not to be tied up with scholar school or master – disciple relationship to put forth his own standpoint. In addition, he interprets the word ‘privateness (私)’ in the phrase of ‘privateness of human desires (人欲之私)’ mentioned in the Prefac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as the ‘solidarity (獨自)’ or ‘by one’s self’. This viewpoint can almost reduce the misunderstanding over the human mind as having only negative aspects. From this point, it is obvious to see the profundity of Myeong Jae’s thought which is not only creative but also penetrative to the essence (of the matters). With regard to the dynamic character of Myeong Jae’s Neo-Confucianism, this feature can be obviously seen in his emphasis on ‘the attention to the reality (務實)’ which aims at achieving actual results based on the true mind.

한국어

글은 명재 윤증의 성리학이 지닌 자주적 성격과 역동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명재가 지닌 학문적 문제의식은 참된 마음을 현실의 삶 속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있다. 명재의 理와 氣에 대한 이해에 있어 핵심적인 내용은 두 가지로 집약하여 말할 수 있다. 하나는 리와 기의 개념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둘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리와 기의 개념과 관련된 명재의 직접적인 정의 내용은 보이지 않고, 율곡 이이의 말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의 언급이 있다. 명재는 리와 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리와 기를 서로 뒤섞일 수 없 는 것이며, 서로 떨어질 수도 없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것은 주자가 理와 氣의 관계를 ‘서로 섞을 수 없는 것(不相 雜)’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不相離)’이라고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명재의 심론에 있어 특기할 만한 것은 인심과 도심을 본심이라는 측면에서 하나로 관통시키고자 하는 의식이 강하다는 것이다. 주자는 감각적 욕구에 대한 지각과 의리에 대한 지각을 나누어, 그 지각하는 내용에 따른 차이로 인심과 도심을 구분한다. 몸에서 느껴지는 감각적 지각 즉 배고픔과 갈증, 추위와 더위 등을 아는 주체가 人心이고, 측은해 하거나 나 의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못을 미워하는 등의 도덕적 지각을 하는 것은 道心이라고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 자가 인심과 도심을 기능적 차이를 기준으로 나누는 것과는 다르게, 명재는 지나침과 모자람의 문제로 인심과 도심을 구분하고 있다. 명재는 인심에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는 것을 ‘본심의 바름’이라 규정하고, 이러한 본심의 바름(本心之正 )은 곧 도심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심을 氣의 用事로 도심을 理의 용사로 보고 있는데, 이러한 사유는 율곡학파의 일반적인 입장으로부터 한 발 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견해는 학파나 사승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관점을 세우려는 자주성에서 기인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중용󰡕의 서문에 나오는 人欲之私에서의 私를 獨自로 해석함으로써, 자칫 인욕을 부정 적으로 볼 수 있는 오해를 불식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도 독창적이면서도 본질을 꿰뚫고 있는 인식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명재성리학에서 역동적 성격을 찾는다면, 참된 마음에 기초한 실질적인 성과와 효과를 달성하려는 務實에 대한 강조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명재의 太極 및 理氣論
 3. 명제 심성론의 자주성과 역동적 성격
  1) 심에 대한 이해와 자주성
  2) 實心과 務實
  3)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정묵 Choi, Jeong-Mook. 충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