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계 성혼의 퇴율절충론의 철학적 함의 - 리기일발설(理氣一發說)의 존재론적 해석

원문정보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Seong Hon's Compromising Thought between Toegye and Yulgok :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Unified Manifestation Theory of Li and Chi

김우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will elucidat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Seong Hon (成渾, 1535~1598, 牛溪)'s compromising thought between Toegye (退溪) Yi Hwang (李滉) and Yulgok (栗谷) Yi I (李珥)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his theory of "the unified manifestation of li and chi" (理氣一發). Concerning the Four-seven debate, Seong Hon did not align himself with Ki Daeseung (奇大升) nor agreeing with Yi Hwang from the beginning. Although he felt Ki's logic was more clear than Yi's, Seong thought that Yi's "mutual manifestation theory" (互發說) had the reasonable basis if considering Zhu Xi (朱熹)'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However, Seong's advocating Yi Hwang as such was superficial since he actually did not agree on the "mutual manifestation theory". Seong thought that it is possible only in the nominal dimension to separate Four Beginnings (Moral Mind) and Seven Emotions (Human Mind) in terms of li and chi. In reality, Four Beginnings belong to Seven Emotions as the general functions of mind where both are not able to be distinguished. Seong established his position with the theory of "the unified manifestation of li and chi" which impli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of juli (主理, regarding mainly as moral principle) and juki (主氣, regarding mainly as temperament) on the functions of mind as the unified substance is possible only in the nominal dimension. In Seong’s thought, moral good and evil could be discriminated by practical deliberation which did not appertain to cognition. He seems to think that such a deliberation is able to be acquired by practical self-cultivation. Seong Hon's compromising thought,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ontological rather than epistemological, can be regarded as the thir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two epistemological standpoints in the mainstream of Korean Neo-Confucianism.

한국어

이 논문은 성혼의 리기일발설(理氣一發說)에 초점을 맞춰 그의 퇴율절충론이 지니는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자 한다. 성혼은 사단칠정논변에 대해 처음부터 기대승의 입장에 동조한 것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이황의 입장에 선 것도 아니었다. 그가 이황의 호발설을 변호한 것은 단지 표면적인 것일 뿐, 실제로 호발설을 지지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을 리와 기로 나누어 말하는 것은 단지 명목상의 차원에서 가능할 뿐이지, 실제로는 마음의 일반적 작용태로서의 칠정에 사단이 포함되며 양자는 지각상에서 구별된다고 보지 않았다. 성혼의 리기일발설은 리와 기가 일체로 결합된 마음의 발현에서 도덕적인 원리의 비중이 높은 것은 ‘주리(主理)’로, 과불급을 일으키는 기질(氣質)의 비중이 높은 것은 ‘주기(主氣)’로 각각 명목 차원에서만 지목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도덕적 시비선악의 판별은 지각과는 다른 반성적 헤아림의 능력에 의해 가능하며, 그것은 실천적 수양에 의해서만 길러질 수 있다고 본 듯하다. 성혼의 이와 같은 절충론적 입장은 이황과 이이의 지각론적 두 입장과는 다른 제3의 입장이라 할 수 있으며, 지각론보다는 존재론적 성격을 띤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논의의 맥락
 3. 우율 논변에 나타난 성혼의 근본 입장
 4. 리기일발설과 심체론의 함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우형 Kim, Woo-Hyung.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