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 - 『擊蒙要訣』의 「革舊習」章・「持身」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 Focus on The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of Yulgok Yi I's Gyeokmongyogyeol -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 - 『격몽요결』의 「혁구습」장・「지신」장을 중심으로 -

최재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philosophical meaning a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with the discerning eye of mentality history, particularly centered with the two chapters, Hyukguseup(innovating the past habits) and Jisin(embodied in the body), among Yulgok Yi I's Gyeokmongyogyeol(the point of hitting the stupidity), which tried to clarify itself. Eastern gyeokmong, gyemong, hunmong, jeongmong, which are generally used, were the planning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Traditionally, as seen in children's texts - e.g. Dongmongseonseub, Gyemongpyeon, Hunmongjahwe, Jeongmongryueo, etc. - the reason why 'mong' enters in the middle is the same reason. In other words, the technique to awaken 'pattern of light, rays of light' which is sleeping within the child and the intention of training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of Gyeokmongyogyeol, the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which Confucianism had, appeared. It has the intention to include(myeongmyeongdeok) the darkness beyond the light(eventually the human or human inside becomes the target) into the light world, after presuming letter-knowledge- civilization as the light, and premising that possibility(=myeongdeok, enlightening the bright virtue) is hidden in human inner side, into the light. That is to see the completion of 'humanity'. Of course, we can prove that this planning is not necessarily patented only in Confucianism through various examples of eastern western culture. However, in Confucianism, in the strategy of civilization, as we can see in the word, dongmong (dong/children+mong/stupidity), they promoted the task to 'beat and hit'(gyeokmong) children=stupidity, 'evoke' it (gyemong), 'teach' it(hunmong), and 'correct' it(jeongmong) by seeing children as stupidity(dongmong). Children became the beings of 'darkness(or heugam)', as the target of education, not the main agent. First, this discussion treated what is 'children' as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gyeokmong, next, investigated the blueprint of 'mind and body' architecture which Yi Yulgok's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in Gyeokmongyogyeol. Then, it investigated non- Confucian method of study as the recovery of 'light', lastly, explored gyeokmong towards humanity as the oriental planning or architecture of 'light'. As the result, as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determined in the Introduction(Seo) of Gyeokmongyogyeol, this research discussed the point to learn and practice 'to be a man of decent character', 'propriety of various complex relationships(Oryun, the five kinds of virtues) in human life', that is, to embody the manual of (Oryun). That is, human being becomes a light in the light of the world and lives by emitting one's own light.

한국어

이 논문은 栗谷 李珥(1537-1584)(이하 율곡 혹은 이율곡)의 『擊蒙要訣』가운데 특히 제2 「革舊習」章과 제3 「持身」章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부에서 천명하려는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지성사적 안목에서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양의 擊蒙, 啓蒙, 訓蒙, 正蒙은 어둠에서 빛으로의 기획이었다. 전통적으로 아동용 텍스트들 – 즉 『童蒙先習』, 『啓蒙篇』, 『訓蒙字會』, 『正蒙類語』등에서 보듯이 - 가운데 ‘蒙’ 자가 들어가는 것도 이런 이유 에서이다. 다시 말해서 아동의 내면에 잠들어 있는 ‘빛의 문양, 빛살무늬’를 일깨워내려는 기법을 내세우는 의도를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擊蒙要訣』의 「革舊習」장과「持身」장에서는 유교가 가진 ‘어둠’에서 ‘빛’으로의 기획이 잘 드러나 있다. 문자-지식-문명을 빛으로 상정하고, 그러한 가능성(=明德)이 인간 내면에 잠재해 있음을 전제한 다음, 빛의 저편에 있는 어둠( 결국은 인간 혹은 인간의 내면이 대상이 되지만)을 빛의 세계로 편입시키려는(=明明德) 의도를 갖는다. 그것을 ‘인간다 움’의 완성으로 보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획이 꼭 유교에서 전매특허를 낸 것이 아님을 우리는 동서양 문화속의 여러 예들을 통해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유교에서는 문명화라는 전략 속에서, 童蒙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어린이를 어리석음으로 보고(童+蒙) 어린이= 어리석음을 ‘치고 때려’(=擊蒙), ‘열어서’(=啓蒙), ‘가르치고’(=訓蒙), ‘바로잡는’(=正蒙) 작업을 추진한다. 아동들은 교육 의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서, ‘암흑(혹은 흑암)’의 존재가 된 것이다. 이 논의에서는 먼저 ‘격몽’ 이해의 근거로서 ‘어린아이’란 무엇인가를 다루고, 이어서 이율곡 『擊蒙要訣』속의 「革舊習 」章과 「持身」章이 가지고 있는 ‘心身’ 건축의 설계도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빛’ 회복하기로서 주자학적 공부론을, 마지막으로 인간다움을 향한 ‘擊蒙’을 동양식 ‘빛’의 기획 혹은 건축술로서 조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革舊習」章과 「持身」章의 내용은, 이율곡이 『擊蒙要訣』의 「서」에서 밝혔듯이,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것’ ‘인간 살아가는 여러 복잡한 관계들(오륜)의 마땅함을 터득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 즉 (=五倫)의 매뉴얼을 신체화하는 것 임을 논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천지의 빛 속에서 인간도 하나의 빛이 되어 스스로의 빛을 밝히며 살아가는 일이다 .

목차

<한글요약문>
 1. 서언
 2. ‘어린아이’란 무엇인가? : ‘격몽’ 이해의 근거
 3. 「革舊習」과 「持身」의 ‘心身’ 건축 설계도
 4. ‘빛’ 회복하기로서 주자학적 공부론
 5. 인간다움을 향한 ‘擊蒙’ :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재목 Choi, Jae-Mok. 영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