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ands for desirable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the experts who are ope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al problem solving model which could be practic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 Study results showed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sympathized that Korean society doesn’t have much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about minority group even though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Study results suggest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first as the action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od culture experience learning is most effective for education contents. Second Practical problem solving model based on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 by reflecting the diagnostic demand research results.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is developed by reflecting experts’ demands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practically helpful to realize bidirectional multicultural education by solving the problems in everyday life throug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개별인터뷰를 통해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에서 실천 가능한 다문화교육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교육 전문가들은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음에도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많이 부족한 점을 공감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의 실천방안으로 먼저 학교교육이 시행되어야 하며, 교육내용으로는 음식문화 체험학습이 가장 효율적임을 제안하였다. 둘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진단적 요구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기술·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총 5차시로 구성하였고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으로 설계하였으며 ‘성숙한 다문화사회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제시하였다.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다문화사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음식문화를 체험해봄으로써 자신이 믿고 따랐던 왜곡된 신념과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최선의 행동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한 수업과정안은 기술·가정교과 수업을 통해 일상적인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양방향성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다문화교육의 진단적 요구분석
2. 기술·가정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Ⅲ. 연구결과
1. 다문화교육의 진단적 요구분석
2. 기술·가정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