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三國史記 木板本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이해

원문정보

A New Understanding on the Contents in the Block Book of Samguksagi

삼국사기 목판본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이해

유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newly examines the previous understanding on ‘Seongambon’ and ‘Jungjongbon’ the block books of Samguksagi in existence by carrying out close comparative and contrastive analysis with ‘Sungambon’ and ‘gaegakbon in the third year of Taej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abridged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Sungambon’, pre-existing Goryeobon, is known as ‘Goryeobeongakbon’, but is considered as ‘Goryeojaebeongakbon’ in the study. Secondly, although it has been thought that several pieces of paper in the list of old ‘Jungjongbon’ of Samguksagi and the third paper in the volume 38 were from the remaining wood blocks of ‘Goryeowongakbon’, here it is believed that the former was printed from the left blocks of beongakbon of wongakbon, that is to say ‘Goryeobeongakbon’, and the latter was printed from the block book in the ‘gaegakbon in the third year of Taejo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Goryeowongakbon’ had been engraved outside in. Thirdly,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first and second paper of the volume 38 in the existing ‘Jungjongbon’ and the first paper of the volume 39 came from the wood block which was woodcut inside out and then engraved with wongakbon in the third year of Taejo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study, however, they are considered as the beongak of beongakbon (namely ‘Goryeobeongakbon’) cut outside in and then made again not wongakbon in the third year of Taejo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본 연구는 삼국사기 목판본의 현존본인 ‘성암본’과 ‘중종본’에 대한 종래의 이해에 대해 서 ‘성암본’과 ‘조선 태조 3년 개각본’과의 면밀한 대조 분석을 통해 새롭게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 고려본인 ‘성암본’은 ‘고려번각본’으로 이해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려재 번각본’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종래 ‘중종본’ 삼국사기 목록(目錄)의 여러 지장(紙張)과 제38권의 제3장이 ‘고려 원각본’ 잔판(殘板)에서 인출된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목록(目錄)의 여러 지 장(紙張)은 원각본의 번각본 즉 ‘고려번각본’의 잔판(殘板)에서 인쇄된 것이고, 제38권의 제3장은 ‘고려번각본’을 번각(飜刻)한 ‘조선 태조 3년 개각본’의 목판(木板)에서 인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종래 ‘중종본’의 제38권 제1장, 제38권 제2장, 제39권 제1장이 조선 태조 3년 원각 본을 번각하여 판각된 목판에서 인출된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조선 태조 3년에 원각본이 아닌 원각본(原刻本)을 번각하여 중간(重刊)된 번각본(즉 ‘고려번각본’)의 번각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초록>
 
 1. 서언
 2. 三國史記 木板本의 성격에 대한 종래의 이해
 3. 三國史記 木板本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이해
 4. 결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부현 Yoo, Boo-Hyun. 大眞大學校 文獻情報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