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고전서총목제요』의 「범례」를 통한 『홍씨독서록』서지분석의 범주 연구 - 『홍씨독서록』 「史部」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ategories for Bibliographic Analysis Used in Hong’s Dokseorok Based on the “Notes on the Use of the Book” of the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 Centering on the “History Section” of Hong’s Dokseorok -

趙永來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ng’s Dokseorok is Hong Seokju’s annotated catalog in which Hong classified 16,000 books of 472 categories he himself had read into classics,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frequent cultural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g. In particular,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Sago Collections and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in Ching.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is fact in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books listed in Hong’s Dokseorok. In this context, this paper studied the classification of books listed in Hong’s Dokseorok and the standards and categories for bibliographic analysis used in Hong’s Dokseorok based on the “Notes on the Use of the Book” of the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considering the temporal relationship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g. Through this study, this paper illuminated the uniqueness of Hong’s Dokseorok by comparing Hong’s classification system with that of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and determining what the differences are.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Hong’s two visits to Beijing and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 projects carried out in Joseon and Ching. This paper also studied the historical possibility of knowledge sharing in terms of bibliographic control that may have been present between Joseon and Ching. The importance of the analysis of book classification and knowledge system of Joseon and Ching based on the “Notes on the Use of the Book” of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should be publicized to the global community through the study of Hong’s Dokseorok. At the same time, this paper leaves a challenge for future studies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perspectives and analyses for this subject.

한국어

『홍씨독서록』은 洪奭周의 저술로 그가 친히 접했던 472종 16,000여 권에 달하는 도서를 經ㆍ史ㆍ子ㆍ集으로 분류해 설명한 해제목록서이다. 본서가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 과 청과의 빈번한 문화교류라는 시대배경과 무관하지 않고, 특히 중국의 『사고전서』와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출간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본고는 이점에 주목하고서 『홍씨 독서록』을 저술한 당시 본서에 수록한 도서의 선별기준을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서 당시 한중 문화교류의 시간적인 전후 관계의 맥락을 근간으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범례」를 통해 『홍씨독서록』의 수록 도서선별과 서지분석의 기준과 범주를 고찰했다. 이런 고찰 을 통해 홍씨의 도서 분류 체계가 중국과 어떻게 구분되는지 『홍씨독서록』의 독창성을 밝혔다. 아울러 홍씨의 두 차례 연행과 한중간의 대규모 편찬사업의 시간적인 선후 관계 의 분석했다. 이를 근거로 양국 간에 내재했던 지식체계의 공유라는 가능성을 서지통정 (Bibliographic control)의 개념으로 그 역사적 사실에 대해 고찰했다. 『사고전서총목제요』의 「범례」를 통한 한중간의 도서 분류와 지식체계의 분석은 『홍씨독서록』의 가치를 국제화하는 동시에 후 학으로 하여금 연구 관점과 분석의 다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과제를 동시 남겨주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독서록』의 서지분류와 체례 구성
 3. 『독서록』의 도서 선정기준과 『총목제요』의 「凡例二十則」
 4. “凡例二十則”과 『독서록』선별 기준의 항목별 비교
 5. 『홍씨독서록』과 한중 ‘서지통정’
 6. 소결
 <참고문헌>

저자정보

  • 趙永來 조영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