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반도 통일 공공외교 : 중국 조선족 동포의 역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Public Diplomacy-Focusing on the Role of Korean-Chinese Society

리단

재외한인학회 재외한인연구 제35호 2015.02 pp.101-12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is discusses the Chinese Korean social play a role in the South Korea unity of the public diplomacy in the public diplomacy background. It propos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 to play a role in the Chinese Korean society. Overseas Korean’s influence depends on the participant motivation, ability and its opportunity of the South Korea public diplomacy. The Chinese Korean society is as a fusion of Chinese culture and Korean culture, as the experience of socialism and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It plays a role in several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unified public diplomacy. It makes a model of global overseas Korean ethnic community as a cultural fusion. It becomes North Korea to study socialist market economy, reform and openness. It is as a support, let China to understand Korea’s national cultur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a and South Korea. South Korea should do as follows to play the role in the Chinese Korean: to accurate evaluation of the Korean society value; to develop diplomatic support; regard South Korea businessmen resources, and devote to establishing Korean national economic community.

한국어

이 연구는 공공외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재외동포 공공외교의 개념을 정리하고중국조선족사회가 통일 공공외교 전개에서의 역할, 그리고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수 있도록 관-학-민 등 다각도의 지원체계를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분석하고자 한다. 재외동포가 모국의 공공외교에서의 역할은 그들의 참여의 원동력,능력 및 기회 등 요인에 결정된다. 중국 조선족사회는 한민족의 문화와 중국문화,사회주의 경험과 사회주의 시장경제 경험을 한 집단으로 중국사회 발전에서 중요한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반도 통일에 관심을 기우리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에서 이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기대된다. 첫째, 문화융합체로서 글로벌 코리안 문화공동체 형성에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둘째, 사회주의시장경제의 경험자로서 북한이 시장경제 학습의 모델이자 북한의 개방을 유도 할 수 있는 중요한 행위자이다. 셋째, 정치적 측면에서 조선족은 중국이 한민족 문화를 이해할 수있는 매개체와 한중 양국 국가 관계 발전의 사절이 될 수 있다. 한국은 통일 공공외교에서 중국 조선족사회의 충분한 역할 발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한국은 중국 조선족사회의 민족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그들의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 보존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둘째, 조선족사회발전에 따라서 세분화된 통일 공공외교를 추진해야 한다. 포럼외교를 비롯한 학술활동으로 재외동포 지식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한반도의 중대한 사안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다. 넷째, 중국 한상자원에 대한 연구와 지원으로 코리안 경제공동체형성에주력한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공공외교와 재외동포
  1. 공공외교의 개념적 접근
  2. 재외동포의 공공외교
 III. 중국 조선족: 통일 공공외교의 행위자
  1. 중국 조선족 통일 공공외교 담론
  2. 통일 공공외교 실태
  3. 통일 공공외교 주체
  4. 중국 조선족의 역할
 IV. 결론: 과제와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리단 LIDAN. 부경대 국제지역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