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사회 정체성과 언어 사용 실태

원문정보

Social Identity and Language Use Patterns of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윤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of Koreans in CIS and their language use patterns.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ample survey of 1,020 Koreans in Uzbekistan, Kazakhstan, and the Russian Far East(Sakhalin and Maritime Province) conducted between June and October of 2013.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Koreans maintain an above-average level of ethnic and national identities, and in general national identity is slightly stronger than ethnic identity. When we create four types of social identity by combining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integration is the most frequent type, followed by assimilation, tradition, and marginality. In terms of language use patterns, Koreans use Russian most frequently, followed by Korean, and very few use local languages. The level of Russian language skill is the highest, followed by Korean language skill, and the level of local language skill is very low. When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dentity and language use patterns, people of integration type have a high level of Korean, Russian, and local languages, whereas people of tradition type have a low level of Russian and local languages. People of assimilation and marginality have a high level of Russian but a low level of Korean. In regard to the prospect of the local language in the host country, Koreans know that local languages will be the most widely used language in their host countries in the future, but they do not have strong will to learn them, suggesting that they have not been responding actively to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한국어

본 논문은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종족 정체성과 국민 정체성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의 언어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정체성 유형과 언어 사용 실태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13년 6월부터 10월까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극동 러시아(사할린과 연해주)에서 14세 이상의 1,020명의 고려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집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인의 종족 정체성과 국민 정체성 수준은 보통 수준에 해당하는 3점보다 높았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국민 정체성이 종족 정체성보다 약간 높았다. 종족 정체성과 국민 정체성을 결합해서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통합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동화형, 전통형, 주변화형의 순서였다. 언어 사용 실태를 파악한 결과 러시아어를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고려말을 사용하고 현지어를 사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언어 사용 능력에서도 러시아어 능력이 5점 만점에서 4.6~4.8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고려말이 보통 수준이 3점보다 낮았다. 거주국의 현지어 능력은 잘 못하는 편인 2점에 머물렀다. 정체성 유형과 언어 사용 실태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통합형에서 고려말, 러시아어, 현지어 능력이 높았고, 전통형에서 러시아어, 현지어 능력이 낮았다. 동화형과 주변화형에서는 러시아어 능력이 높은 반면 고려말 능력은 낮았다. 고려인은 앞으로 자국에서 현지어가 가장 많이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현지어를 배우려는 의지가 약해서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차

요약문
 I. 머리말
 II. 선행연구 검토
 III. 자료와 방법론
 IV. 연구 결과
 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인진 In-Jin Yoon.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