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미국 뉴욕경찰청(NYPD)의 제도와 연방대법원 판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strictions of the Sound Devices i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in the cases of the US Supreme Court and the New York Police Department

황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ewly amended noise restriction of the law o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entered into force from July 22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grounds for the amendment of the section of the noise restrictions are the growing civil complaints rate, ineffective measurement, the necessity of regulation in proximity to hospital and library zone. A lot of NGOs and some lawyers who organized or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argued that new standards are too extravagant to regulate the noise level of the assembly and eventually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It became important to find whether the reinforced regulations are too restrictive. Therefore, I searched the legislative cases of the of the US Supreme Court. In the view of the legislation, many developed nations adopt more reinforced and specific standards for the assembly noise than that of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methods of the regulation and measurement are excessively different, its trends are quite distinct. In the occasion of the US NYPD(New York Police Department), NYPD requests the assembly application and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respectively from the organizer of the assembly. If someone wants to organize the public assembly during 5 days, it needs to submit the assembly application once. However, the organizer should submit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5 times with a fee of 45$ per day. The police commissioner might not issue the sound device permit if the public assembly can harm the safety and peace of the place due to the noise. Therefore, the organizer negotiate sound device permit with the authority everyday. In Korea,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assembly application. If police authority issue the permit of the public assembly during one month, the organizer has the rights to use any sound device or apparatus under the regulation standards in the period of one month without no fees. On the other hand, US Supreme Court developed the time, place and manners restrictions in relation to protecting the First Amendment. These restrictions need 4 principles to evaluate the consistency with constitutionality; content-neutral, narrowly taylored, significant government interests and open alternative channels of communications. As ‘narrowly taylored’ principle is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of privacy, ‘captive audience doctrine’ is established. The US Supreme Court held in Kovacs v. Cooper case that captive audience should not be infringed by loud and raucous noise of the public assembly. However, the Court in Frisby v. Schultz and Snyder v. Phelps cases held that captive audience doctrine must be narrowly tailored. It seems to focus on the protection of more privacy than the rights of assembl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not any specific case with the sound devices or noise of the assembly. However, there are similar principles in relation to time, place and manners. All of these related cases suggest that the amendment of noise standards in assembly does not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한국어

지난 2014년 7월 21일 경찰청에서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25488호)을 개정하여 집회시위 소음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개정된 기준은 10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헌법적 권리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양자를 조화시켜야 할지에 대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필자가 미국 뉴욕 경찰청(NYPD)을 방문하여 수집한 자료와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연구하여 한국적 상황에 맞는 실무적인 검토를 전개하여 보았다. 미국 뉴욕의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을 허용하면서도 우리나라보다 더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다. 집회시위를 개최하고자 하는 자는 집회신고를 할 때 별도의 소음허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수수료는 하루에 45$이다. 구체적인 소음기준은 없고 경찰서장이 이전의 집회에서 발생한 소음의 정도, 인근 주민의 불편사항을 등을 고려하여 집회 책임자와 협상을 통해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은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해 선택의 자유 없는 청중의 법리(captive audience doctrine)를 판례의 원칙으로 발달시켜왔으며, 헌법 판례로 확립된 정교하게 고안된(narrowly taylored) 원칙에 의거하여 헌법상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948년 Saia v. New York 판례, 1949년 Kovacs v. Cooper 판례, 1988년 Frisby v. Schultz 판례, 1989년 Ward v. Rock Against Racism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들 판례들은 정교하게 고안된 법령이라면 헌법적 자유라 할지라도 제한할 수 있다는 원칙을 발달시켜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판례는 나오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결론으로는 한국의 집회시위에 대한 오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보건대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허용하는 것은 어렵지만, 정교하게 고안된 원칙에 근거하여 집회시위 소음을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경찰법 상의 비례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는데, 비례의 원칙이 현장에서는 적용하기가 까다로와 실효성이 적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향후 집회시위 소음 규제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법률 이론이 꽃을 피워 객관적으로 계량화, 수치화된 집회시위 소음 기준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현행 집회소음 규제 및 관련 판례 검토
 Ⅲ. 미국 뉴욕 경찰청(NYPD)의 집회소음 규제와 연방대법원 판례 검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규진 Hwang, Kyu-Jin.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요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