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젠더 위기극복 측면에서 여성부장관의 정책 변화 추이 분석 -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the Tendency from the Minister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Terms of the Overcome of Gender Crisis -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Rho Moo-Hyoun and Lee Myung-Bak Administration -

Hye Won Ah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policies on women observed in the women's policy trends of minister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order to overcome the gender crisi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Lee Myung-Bak and Roh Moo-Hyoun administration. So it is founded out the change of the women's policies and it'll become academic foundations. First, the Keyword 'women' had high centrality in the every minister except minister Kim Keum-Lae. In case of Roh Moo-Hyoun administration, keywords 'women', 'problem', 'Irregular workers', 'international', 'human power', 'underprivileged' had high centrality in the inaugural speech of minister Ji Eun-Hee. Kewords 'new', 'childcare', 'society', 'nation', 'childcare paradigm',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had high centrality in the inaugural speech of minister Jang Ha-Jin. In the case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 keywords 'policy', 'promoting', 'government', 'political problem', 'new administration', 'work' had high centrality in the inaugural speech of minister Byoun Do-Yun. And Kewords 'work', 'life', 'home', 'economy', 'achievement' had high centrality in the inaugural speech of minister Baek Hee-young. Keyword 'family' had higher centrality than other minister's speech in the inaugural speech of minister Kim Geum-Lae and keywords 'policy', 'gender', 'women', 'capability' had high centrality.

한국어

이 연구는 젠더 위기 극복측면에서 우리나라 여성부장관의 여성정책의 변화 추이를 언어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노무현 정부시기와 이명박 정부시기의 여성부 장관의 여성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여성정책이 어떠한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도출해 보고자하며, 이는 우리나라 여성정책의 학문적 정체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김금래 장관을 제외한 분석한 모든 장관의 경우 “여성”의 중심성이 가장 높았다. 노무현 정권의 경우, 지은희 장관 취임사는 정책 경향성 내지 정책의 패턴을 살펴보기 위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키워드의 중심성 값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문제”, “비정규직”, “국제”, “인권”, “소외계층” 등의 키워드 중심성 값이 높았다. 장하진 장관 취임사는 “새로운”, “보육”, “우리사회”, “국가”, “보육패러다임”, “여성지위향상” 등의 키워드가 중심성 값이 높았다. 이명박 정권의 경우, 변도윤 장관 취임사는 “정책”, “추진”, “정부”, “정책과제”, “새정부”, “일”등의 키워드가 높았다. 백희영 장관 취임사는 “일”, “생활”, “가정”, “경제”, “성과” 등의 키워드가 중심성 값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김금래 장관의 취임사는 “가족”키워드의 중심성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장관들이 “여성”키워드의 중심성 값이 가장 높았다는 것에 비하여 특이했다. 다음으로, “정책”, “성”, “여성”, “역량”등의 키워드의 중심성 값이 높았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도입
 Ⅱ. 이론적 논의
  1. 우리나라 여성정책의 변천사
  2. 역대 여성부 장관의 정책 변화
  3. 연구분석틀
 Ⅲ. 조사 설계
 Ⅳ. 분석결과 및 시사점
  1.『여성부 장관』 취임사의 연구주제어 분석
  2.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노무현 정부』시기 여성부 장관의 정책 패턴
  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이명박 정부』시기 여성부 장관의 정책 패턴
  4.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Hye Won Ahn 안혜원. 충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