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자(莊子)사상의 덕(德), 추(醜) 개념을 중심으로 본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양식적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Goseong Five-Clown Leper Drum Dance Based on Chuang-tzu’s Concepts of Virtue(德) and Ugliness(醜)

주송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esthetic values inherent in the stylistic components of Leper Drum Dance, Chapter 1 of Goseong Five Clowns, based on Chuang-tzu’s main concepts of virtue and ugliness,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ory of Oriental Art within his thinking system. Through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Chuang-tzu regarded a life pursuing nature intact as it is, through which people adapt themselves to the logics of nature with no artificial touches made in their lives and behaviors, as a passage to the highest spiritual state, and even in judging the aesthetic values of objects, he believed the closer to the logics of nature objects were, the higher aesthetic values they had. In this light, the beauty of nature intact in Leper Drum Dance is inherent in masks describing lepers’ appearances both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dancing movements sublimating deformative motions into a dance, and even simple costumes without ostentation or vanity. When this dance is understood with Chuang-tzu’s concepts of virtue and ugliness, therefore, it shows a process of lepers overcoming their ill-fated lives through this dance and changing them to bright ones by exposing their inner virtues as they are, although their outer appearances might be ugly. Since this process is to embody the provision of natu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eauty of nature as it is can be created through this dance. Besides, Chuang-tzu explained that what are considered as beauty and ugliness in reality can change depending on aesthetic subjects since the standards of beauty and ugliness change from a different aesthetic point of view, and differences between beauty and ugliness can be united into one in the aspect of their essences. Therefore, this study discovered that a character like a leper can change into an aesthetic object by applying Chuang-tzu’s viewpoints to lepers’ appearances and dancing movements. Secondly, in Chuang-tzu’s thoughts, Enjoyment(遊) is freely enjoying things free from worldly cares without being bound by anything. It can be achieved only when we arrive at a spiritual state where our mind is harmonized with virtues and understand the logic of ‘All Things Being the Same(萬物濟同)’. When dancers playing the roles of lepers and the audience share time and space with each other and get absorbed into this Leper Drum Dance, they can enjoy their spiritual freedom and liberation to the fullest through excitement and passion, thus arriving at the state of Enjoyment.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discover that intangible space without a boundary between the performance stage and seats, musicians’ music played in the very site and props playing a role as a catalyst to dramatically show leper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re components that make it possible for both the dancers and audience to enjoy themselves in a free state of absolute spirit, free from all kinds of worldly restraints and confinements.

한국어

장자 철학의 목적은 현실세계에서 잊고 있는 내면의 덕을 깨달아 변화하는 세계의 흐름에 동참하는 데에 있으며 그것이 그가 주창하는 진정한 의미의 덕이다. 장자는 도가 개별화되고 구체화된 것이 덕이라고 말하며, 이를 훼손하지 않고 온전히 보전한 사람을 참된 경지에 이른 인물인 신인(神人), 진인(眞人), 성인(成人)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와 덕을 체득한 사람에게는 신체상의 추는 문제되지 않는다. ‘만물을 모두 똑같다(萬物皆一)’는 것을 체득한 사람은 형체의 미추를 초월할 수 있고 따라서 자유스러울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장자는 인간 기형으로서의 추를 심미적 대상이자 미적 범주로 파악한다. 즉 비록 형체는 추하지만 내면적으로 순박한 덕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심미적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자연의 순리에 따르며 인위(人爲)로서 덕을 훼손하지 않고 자연스러음을 추구하는 ‘무위자연의 미’와 이러한 삶의 방식을 따름으로서 억압된 현실로부터 자유로움의 정신경지로 이행되는 ‘유심, 열리 소통이 가능해짐’을 문둥북춤의 양식적 요소인 탈, 춤사위, 의상, 연희 공간, 반주 음악, 소도구에 적용하여 논의하였다. 고성오광대의 문둥북춤에서 문둥이의 기형적 움직임을 묘사하는 것은 단순히 장애인들을 흉내내거나 모방하기 위함이 아니다. 문둥이라는 인물이 지닌 내면의 덕을 훼손하지 않고 온전히 드러냄으로서 한 차원 더 높은 경지의 미적 체험을 하기 위함인 것이다. 물오리의 다리가 짧고 학의 다리가 긴 것은 본래 타고난 형체 즉 개별 사물의 미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덕의 특성이 그러한 것처럼 이런 형체가 그들에게는 편안한 것이며 그 형체 자체로 아름다움을 갖는 것이다. 이는 장자가 말하는 ‘도가 그 모습을 주었고 천이 그 형을 주었다.’는 사고의 미학적 이해이며, 천지유대미(天地有大美)의 미의식적 사고인 것이다. 따라서 고성오광대의 문둥북춤이 세월이 지나도록 훼손되지 않고 꾸준히 전승․발전되어온 점을 반추하면 예로부터 비정상인들의 외형상으로 보이는 추함과 부자유스러움에서 오히려 가장 인간다운 미를 발견한 선조들의 지혜를 확인할 수 있다. 인간 내면의 멋보다는 외형이 중시되고 몸이 곧 상품성으로 귀결되는 현 시대적 상황을 감안할 때 장자의 도와 덕, 미추관과 더불어 문둥북춤이 대변하고 있는, 진정한 아름다움의 정의를 내면의 본질에서 찾고자 한 선조들의 정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다가온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장자 사상의 관점을 통한 다양한 연구들이 한국춤에서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I.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장자 사상을 통한 문둥북춤의 양식적 특성 논의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주송현 Joo, Song-Hyun. 창원대학교 무용학부 강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