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을 이용하여

원문정보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x Educ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s : Based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이지선, 정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In this study,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exu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s to find out their understanding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degree of performance on key concept of the sex education and then compare their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sex education which leads to find out the contents and range of capabilities required for the teachers in charge of sex education.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on 77 health teachers and 71 general teachers using IPA and SPSS/WIN was practiced. Results: The result of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nual hours for sex education of their schools, the contents of the sex education which was given in the lecture type lesson, and their performance degree. It was also found the distribution of key concepts by differences in IPA matrix. Conclusion: As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degree in sex educ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 more specific education for each of them is needed. And the way to reinforce the key concepts, which are found high in perceived importance degree for both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but low in the performance degree should be considered.

한국어

목적: 중학생 시기는 불안정하고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과도기로 왜곡된 성지식을 무분별하게 습득할 수 있 기 때문에 내실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성교육 담당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 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PA 방법을 활용하여 중학교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보건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성 교육의 핵심개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고, 성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성교 육 담당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개발의 내용과 범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17개 시ㆍ도별 중학교 각 10개 학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해당 학교에서 보건교사와 일반교사 각 1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보건교사 77명, 일반교사 70명 등 총 147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여 이를 모두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5월 18일부터 2014년 5월 29일까지 시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담당교사별 학교 내 성교육 실시 현황에서 연간 성교육 실시 시간(p=0.016)과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 수업 방법 중 교과내용에 대한 강의식 수업(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가 응답한 성교육 핵심개념에 대한 중요도는 ‘성폭력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고, ‘가정 폭력’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일반교사의 경우는 ‘성폭력 실태와 문제점’, ‘성폭력 예방 및 대처법’에 대 한 중요도가 가장 높고, ‘임신과 출산’, ‘HIV와 AIDS’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낮았다.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중 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건교사가 응답한 성교육 핵심개념에 대한 수행도는 ‘성폭력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고, ‘가정 폭력’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일반교사의 경우는 ‘신체상’에 대한 수행도가 가장 높고, ‘준비된 성관계’ 에 대한 수행도가 가장 낮았다.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수행도에서 ‘준비된 성관계(p=0.036)’, ‘음란물 바로보 기(p=0.015)’, ‘성폭력 예방 및 대처법(p=0.017)’ 등의 핵심개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들 모두 보건교사 가 일반교사보다 수행도 점수가 높았다. 보건교사의 성교육 핵심개념별 IPA 결과를 살펴보면, 1사분면에 11개, 2사분면에 3개, 3사분면에 10개, 4사분 면에 4개의 핵심개념이 분포되었다. 이 중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2사분면에 위치한 개념은 ‘성 욕구 조절’, ‘준비된 성관계’, ‘생식기 건강관리’에 대한 것이었다. 일반교사의 성교육 핵심개념별 IPA 결과를 살펴보면, 1사분면에 11개, 2사분면에 6개, 3사분면에 9개, 4사분면 에 2개의 핵심개념이 분포되었다. 이 중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2사분면에 위치한 개념은 ‘의사결정’, ‘청소년의 성 인식’, ‘성 욕구 조절’, ‘피임’, ‘가정폭력’, ‘음란물 바로보기’에 대한 것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학교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수행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별 특성을 고려한 전문화된 연수가 실시되어야 하겠다. 둘째, 중학교 보건교 사와 일반교사에서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핵심개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셋 째, 향후 고등학교에서도 보건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IPA 방법을 이용하여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목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연구결과
  1. 응답 교사 및 소속 학교의 일반적 특성
  2. 학교 내 성교육 실시 현황
  3. 성교육 중요도
  4. 성교육 수행도
  5. 교사별 성교육 핵심개념별 IPA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지선 Jee Seon Yi.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정혜선 Hye-Sun Jung.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