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Optimism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optimism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476 5th and 6th graders from 19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For this research, children's academic stress scale, optimism scale, self-determination scale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administer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children's academic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However, children's academic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Children's optimism, identified/integrat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econdly, the result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s optimism and self-determinatio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escribed.
한국어
이 연구는 아동의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조절효 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19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76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낙관성, 자기결정성동기 및 학교생활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변인들간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아동의 학업스트 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 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자기결정성동기의 하위요인인 외 적 원인과 부과된 원인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 다른 변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관성, 자기결정성 하위요인인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 원인 및 학교생활적응과 그 하위요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아동의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의,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기술되었다.
목차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 분석
결과
변인들간의 상관과 변인들의 기술통계량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