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xperience of Group Music Psychotherapy for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A Grounded Theory Stud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music psychotherapy experience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living in a shelter.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had purposefully sampled 10 women living in the shelter and conducted 14 group music psychotherapy sessions, Each session lasts 60 minutes at a time and from January to April 2014. After ending music psychotherap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about how they had experienced music psychotherapy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Grounded theory by Strauss & Corbin was utilized for the collected data analysis. Data were categorized into 79 concepts, 18 sub-categories and 12 upper-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casual conditions were ‘distraction of negative emotion’, ‘eager to get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desire to change’, contextual conditions were ‘accepting the opportunity of self-introspection’, ‘self-caring through music absorption’, ‘identifying my life and music’, central phenomena was ‘discovering and accepting true self through music therapy’, intervening condition was ‘empathy’,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through music’, ‘accepting internal needs’, and consequences were ‘tool for communicating’, and ‘aquisition for self-caring resources’. The core category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identified concepts turned out to be “the experience of music psychotherapy helps them acquire the resources for self-ca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acquire resources for self-care through discovery and acceptance of the true-self.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쉼터에 입소한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음악심리치료경험에 대한 과정과 그 특징들을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가정피해폭력으로 쉼터에 거주하는 10명의 여성들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2014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주 1회, 60분 총 14회기 그룹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한 후 개별심층면접을 통해 그들의 음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에 대한 범주 분석은 Strauss & Corbin에 의한 근거이론 방법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79개의 개념과 1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 되었다. 각 범주들은 인과적 조건으로 ‘부정적 감정의 전환’, ‘정서적 안정의 갈망’,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욕구’, 맥락적 조건으로 ‘자기성찰의 기회를 수용’, ‘음악의 몰입을 통한 자기 돌봄’, ‘나의 삶과 음악을 동일시’, 중심현상으로는 ‘음악치료를 통한 참 자기의 발견과 수용’, 중재적 조건으로 ‘공감’,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음악치료를 통한 이해와 소통’, ‘내적 필요에 의한 수용’, 결과로는 ‘소통의 도구’와 ‘자기 돌봄의 자원 획득’ 이라는 패러다임 모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개념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핵심 범주는 ‘음악심리치료의 경험을 통한 자기 돌봄의 자원 획득’ 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은 음악심리치료를 통해 참 자기를 발견하고 수용함으로서 자기 돌봄의 자원을 획득하게 되었음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절차
Ⅲ. 연구결과
1. 개방코딩 결과
2. 축코딩 결과
3. 선택코딩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1. 결론
2.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