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예능프로그램이 트위터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 :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안철수 후보 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Influences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witter

이승희, 김균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this study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influences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witter using the case of the Healing Camp, an entertainment program of SBS, featured Cheol Soo Ahn, who was a presidential candidate. Through a content analysis this study was able to directly test how public opinion was developed in Twitter and also examine the dynamics in which the messages of traditional media influence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witter by combining Twitter and actual contents of the TV program.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a scope of scholarly attention of social media.

한국어

본 연구는 미디어 융합시대를 맞아 예능프로그램의 영향력이 SNS를 통해 증폭되면서 젊은 층의 여론형성에 영향력을 배가시킨다는 측면에서, 안철수 후보의 ‘힐링캠프’ 출연과 관련하여 트위터 이용자의 힐링캠프 방영 전후 여론형성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예능프로그램이 트위터상에서의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안철수 후보 관련 논의가 힐링캠프 방영 전 인간적 특성에 관해 주로 이루어졌던 반면 힐링캠프의 방영으로 인해 안철수 후보의 정치입문 관련 논의가 활성화 되었다. 또한 정서적 차원에서도 힐링캠프 방영 후 안철수 후보에 대한 정치 관련·인간적 특성 관련 긍정적 정서가 모두 증가함으로써 힐링캠프의 방영이 실제로도 트위터 내에서의 여론형성 및 변화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로 트위터 내에서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실제 방영된 TV예능프로그램과 연계해 살펴봄으로써 기존 매체의 메시지가 트위터 내 여론에 미치는 역동적인 과정도 함께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의 검토
  2.1 트위터 여론의 특성
  2.2 트위터의 대인채널로서의 기능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4.1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
  4.2 <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승희 Seung-hee Lee.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 김균수 Kyun-Soo Kim.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