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간이산선택모형을 적용한 범죄 핫스팟의 결정요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rime Hot Spots using Spatial Discrete Choice Model

김현중, 이종길, 여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total crime hot spots in SeoulMetropolitan Area (SMA) of Korea, focusing particularly on spatial planning effects oncrime hot spots. Since crime hot spo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of a city, we applied multiple spatial discrete choice models (SAPM, SEPM andPGWR). Spatial planning variables are residential concentration, mixed land use,concentra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spatial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regression results, residential concentration contributes to diminishing crime hot spots. Mixed land use plays a negative role in reducing crime hot spots. The impact ofconcentra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on crime hot spots was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Spatial accessibil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rime hot spots. Thepresent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suggestions that can alleviate crime hotspots focusing particularly on urban planning perspectiv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공간계획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범죄 핫스팟의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범죄 핫스팟은 공간의 특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있으므로, 이를 모형에서 통제할 수 있는 복수의 공간이산선택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제한 공간계획적 변인들은 주거지 집중도, 토지용도 혼합도, 방범시설 집중도,공간적 접근도이다. 분석결과, 주거지 집중도는 범죄 핫스팟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용도 혼합도는 범죄 핫스팟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공간적 접근성이 범죄 핫스팟에 미친 영향은 통제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공간적 접근도는 범죄 핫스팟과 정(+)의 관련성을 맺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기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범죄핫스팟의 예방을 위한 공간계획적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방법 및 모형설계
  1. 범죄 핫스팟 분석방법
  2. 회귀분석 모형설계
 Ⅳ. 분석 결과
  1. 적용모형의 타당성 검증
  2. SAPM과 SEPM 분석
  3. PGWR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중 Kim, Hyun-Joong.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박사수료
  • 이종길 Lee, Jong-Gil.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박사과정
  • 여관현 Yeo, Kwan-Hyun.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