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6ㆍ25전쟁시기 다부동지역에서 한국군 총기 및 탄약 보급실태

원문정보

Weapon and ammunition supply status of the South Korean troops in area Dabudong Battle operation of the Korean War period

조봉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this end, you look at the Battle of Dabudong from the logistics readiness of our military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llapse of supply systems, involving due to modified conditions of supply is to establish.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been maintained with the help of U.S. troops by the lack of materiel at the time of war.Military advisory group is due to U.S. soldiers through the administrative control and which made the log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troop deployment of military equipment have signed up to charge either as a military advisory group of After the approval and control applications and supply. The site of the battle in the most basic individual rifle was scarce. Normal military supplies to iruwo warfighter that happened, and there were no guns to bear in different ways to address these modified. Deformation ireuba supply. Diffusion transformation of the seizure of weapon handling North Korean soldier is how your bare hands, a suicide attack, boxing, mine's methods, including suicide attacks has been performed. Also called in to the performance of new weapons laboratory by a new weapon developed by the U.S. American troops. Such as an input of the so-called bazooka and early terrain of Korea, there's no need for Dunn, a trolley. Daboo Korea due to this area is to ward off the burden of the North Korean Army's success. However, these deformations is replaced supply would be in loss of life's followed. It was the beginning of a so-called lack of materiel to a person taken by a human-wave strategy.

한국어

본 논문은 6.25전쟁시기 가장 치열한 전투이었던 한국군의 다부동 전투를 수행한 국군 제1사단의 군수 지원 실태를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부동 전투에서 우리 군의 군수 준비태세 및 실태를 보고, 보급 체계의 붕괴로 인해 수반한 변형보급의 실태를 밝히는 것이다. 한국군은 개전당시 군수물자의 부족으로 인해 미군의 지원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미군은 미 군사고문단을 통해 한국군의 군수 및 보급행정을 통제하였고 이로 인해 군수물자를 신청하여 청구하는 것도 미군사고문단의 통제와 승인 후에 신청 및 보급되었다. 전투현장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개인소총이 부족했다. 정상적인 군수보급으로 이루어져야 할 총이 없는 전투원이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되었다. 이른바 변형보급이다. 변형보급 의 방법은 북한군의 노획무기 활용, 육탄공격, 맨손권투, 지뢰자살 공격 등의 방법이 수행되었다. 미군 또한 미군이 개발한 신무기를 투입하여 신무기의 성능을 실험했다. 이른바 바주카포와 초기 한국의 지 형에 필요 없다 던 전차의 투입 등이다. 이로 인해 다부동 지역은 북한군의 주력을 막아내는데 성공했 다. 그러나 이러한 대체된 변형보급에는 항상 인명의 손실이 뒤따랐다. 이른바 군수물자의 부족을 인명 으로 대신한 인해전술의 서막이었다.

목차

I. 머리말
 II. 미 군사고문단의 한국군 군수통제
 III. 다부동지역에서 1사단의 군수지원
 IV. 총기 및 탄약의 변형보급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봉휘 Cho, Bong-Hui. 동명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