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강원도의 동학 조직과 동경대전

원문정보

Donghak Organization of Gangwon-do and Donggyungdaejeon

성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ngwon-do has intimate relationship with Donghak, and can be considered its second home. In April 5, 1860, Donghak established in Gyeogju started to be active in propagating in parts of Gyeongsangbukdo and Gyeonggido areas such as Andong, Younghae, Youngyang, Chungdo, and Daegu. Donghak that started propagating in areas around Gyeongsang-do and Gyeonggi-do started its Donghak origin also in the area of Gangwon-do with purity of Suwoon Jae Woo Choi, the advocator of Donghak. Donghak was propagated to Gangwon-do in 1960s and originated from Kyungwha Lee. After its advocacy, Donghak had its focus on Gyeongsang-do, but re-located its movement to Gangwon-do after 1871 Younghae Gyojosinwon movement. Because of this, Haewall Si Hyung Choi, who was active around Youngwall and Jungsun, reconstructed the Donghak organization. Moreover, Haewall Si Jyung Choi systemized the rituals of Donghak by proceeding various rituals such as Gusungjae and Indengjae, which contributed largely to establishing the Donghak consciousness. Additionally, he inspired other belivers through the 49 days prayer. Donghak of Gangwon-do also has crucial role in publishing the first scriptures of "Donggyungdaejeon" Gyungjin Edition. The scripture of Donghak was written by Suwoon Jae Woo Choi but published by Haewall Si Hyung Choi. Through this process, Haewall Si Hyung Choi published historical landmark and scripture "Donggyungdaejeon." As one can see, Donghak of Gangwon-do established in 1960s served an important role in systemizing rituals and publishing historical landmark and scriptures in a collapsing situation from Younghae Gyojosinwon movement. From this, Donghak could be re-established. Afterwards, Donghak of Gangwon-do became active participant in 1893 Gyojosinwon movement, Boeun Naeri Jang's anti-foreign Yang Chang Eui movement, and 1894 Donghak Farmers Revolution.

한국어

강원도는 동학의 제2 고향이라 할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860년 4월 5일 경주에서 창도된 동학은 초기 경주를 중심으로 안동․영해․영양․청도․대구 등 경상북도 지역과 경기 일부 지역에 포교되었 다. 초기 경상도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포교되기 시작한 동학은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의 순도 와 함께 강원도 지역에도 동학의 연원이 뿌리내리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 동학이 포교된 것은 1860년대였으며, 이경화로부터 전래되었다. 동학이 창도된 직후에는 경 상도가 중심이었지만 1871년 영해교조신원운동 이후 동학의 활동무대는 강원도로 이동하였다. 영월과 정선을 중심으로 활동한 해월 최시형은 이를 계기로 동학의 조직을 재건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 해월 최시형은 구성제, 인등제 등 각종 의례를 시행함으로써 동학의 의식을 체계화하였으며, 훗날 동학 의 의식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외에도 49일 기도를 통해 교인들로 하여금 신앙심을 고취시 켰다. 뿐만 아니라 강원도 동학은 동학의 최초 경전인 경진판 『동경대전』을 간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동학의 경전은 수운 최제우가 직접 지은 것이었지만 책으로 간행한 것은 해월 최시형이었 다. 해월 최시형은 강원도에 포교되기 시작한 동학을 조직화하는 한편 신앙공동체를 만들어나갔다. 이 를 통해 해월 최시형은 동학의 역사인 사적과 경전인 『동경대전』을 간행할 수 있었다. 이로 볼 때 1860년대 형성된 강원도의 동학은 영해교조신원운동으로 와해 상황에서 각종 의례의 확립, 사적 및 경전 간행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동학을 재건할 수 있었다. 이후 강원 도 동학은 1893년 교조신원운동을 비롯하여 보은 장내리의 척왜양창의운동, 그리고 1894년 동학농민혁 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목차

I. 머리말
 II. 동학의 포교 과정과 조직의 확장
 III. 사적과 동경대전의 간행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성주현 Sung, Joo-Hyun. 청암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