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후기 松羅道 驛民의 家族구성과 婚姻에 의한 身分變動 연구 - 慶尙道松羅驛乙西式形止案大帳 -

원문정보

The Family Composition and Status Change by Marriage of Station People of Songrado (松羅道) in the Lately Chosun Dynasty

조선후기 송라도 역민의 가족구성과 혼인에 의한 신분변동 연구 - 경상도송라역을서식형지안대장 -

조병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family composition and marriage regulation and marriage case of station officials and slaves of Songra Station(松羅驛), Nam Station(南驛) and Judeung Station(酒登驛) belonging to Songrado(松羅道), one of station routes in Gyeongsang-do region in Chosun Dynasty by examining into their census register 󰡔Songrado Hyeongjian(松羅道形止案)󰡕. The historical features of this material were to write 'household(戶) by dividing to chapters of Station officials(驛吏秩), Clerk(日守秩) and slave(奴婢秩) by belonging station and the chapter of Station officials(驛吏秩) recorded the names, ages and family origin of station officials and 4th generation ancestors and the status and residence of cohabiting children, brothers and sisters and same sex cousin. The chapter of slaves recorded the names and ages of station male slaves and female slaves, 4th generation ancestors, residence, brothers and sisters, different sex cohabiting family and status of children. At first, household composition and station people's status examined, Songra Station(松羅驛) has many omitted households, so it cannot be correctly understood, but it shows that left households were 105 and station slaves were 138 households(78.0%), station female slaves 39 households (22.0%). It shows a tendency that the households of male and female station slavers gradually more reduced than station officials. The family composition of station people is composed children, same family names and same sex children, different name and different sex children, but station official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no different family names and different name children compared to station male and female slaves. Station people actual state of marriage shows that in case of station officials, their status hereditariness strongly appears through paternal line and their job area is very active with general people through maternal line and marriage is formed between male station slaves. In case of female station slaves, includes male station slaves, station officials and general; people, so status hereditariness through marriage with same status can be understood, on one hand it can be found marriage is formed with general people.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시대 경상도지역 역로의 하나인 송라도(松羅道)에 소속된 송라역(松羅驛), 남역(南驛), 주등역(酒登驛)의 역리, 역노비 등의 호구대장인『송라도형지안(松羅道形止案)』의 분석을 통하여 역 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의 가족 구성과 혼인규정 및 혼인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이 자료의 사료적 특징은 소속 역별로 역리편(驛吏秩), 일수편(日守秩), 노비편(奴婢秩)로 나누어 ‘戶’字를 표기하 고 역리편에서는 호주 역리의 성명, 나이, 본관 및 4조와 동거가족인 자녀, 동생, 동성 4촌 현황, 거주지 등을 기재하였다. 노비편 역시 ‘戶’ 字 아래 역노(驛奴), 역비(驛婢)의 성명, 나이, 4조와 거주지, 동생, 동성, 이성 동거가족 및 자녀 현황등을 기록하였다. 먼저 역민 호구 편성과 역민 현황을 집계해 보면 松羅驛은 역리의 호구가 缺落이 너무 많아 정확히 파 악할 수 없으나 남아있는 호구는 105호이며, 역노 138호(78.0%), 역비 39호(22.0%)로 나타나고 있다. 역 리보다 역노, 역비의 호구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역민의 가족 구성은 자녀를 포함하여 同姓과 동성 자녀, 異姓과 이성 자녀, 同生과 동생자녀로 구성되 고 있으나 단, 驛吏의 경우는 驛奴婢에 비하여 異姓과 異姓子女가 없다는 게 특징적이다. 역민의 혼인실태는 역리의 경우 父系를 통한 역리의 신분 世襲性이 강하게 나타남과 동시에 한편으로 는 母系를 통한 良人과의 職役 移動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역노(驛奴)와 양인 (良人) 간의 통혼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역비의 경우도 역노 외에 驛吏.良人이 나타나고 있어 역노의 동일 신분과의 혼인을 통한 신분의 世襲性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양인과의 통혼도 시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慶尙道松羅驛乙酉式形止案大帳』의 자료와 내용
 III. 松羅驛의 신설과 屬驛체계
 IV. 松羅速屬驛別 驛民의 가족 구성
 V. 松羅道屬驛別 驛民의 혼인 형태
 VI.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병로 Cho, Byoung-Lo.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