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이문건의 아동교육관과 그 의의 - 『養兒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hildren’s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Lee Mun-Geon

이문건의 아동교육관과 그 의의 - 『양아록』을 중심으로-

강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 of children presented in the Yangalok in its historical context. Previous studies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olklore, neglect the situat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But it has a limit to stay in the fragmented research. In this study, let's take a look at the Lee Mun-geon(李文楗)'s education of children. And it was the will of Confucian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background. Spread the Confucian gentry were emerging in Late Koryo Dynasty. It emphasized the political nature of teaching. In other words, Confucianism was organic. Politics and ethics, and connect education and culture. So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world.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childhood education was also connected with its organization. The goal of the Joseon Dynasty children's education is to get a government office. This time the study is not without just thinking about the mind, and who stressed that to be achieved by practice. At that time, a Confucian scholar who was Lee Mun-geon seems that living according to Confucian ethics. He was dutiful to parents. And he loved his children. He said the innocence of childhood in the Yangalok. He saw the innocence of childhood with nature. However, this may be compromised by the external. Therefore, try to keep it constantly. The method is seen as self-discipline or reflection. In other words, he saw Li(理) as innocence of childhood. He wanted to study grandson in order to keep it. Yangalok is the result of hard work. That would raise a grandchild is trying to Confucian figures. Therefore, we can watch the Joseon Dynasty Gyeokdae Education(It says that the grandparents education) through the records.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Yangalok on the basi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It can be 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this day through.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맥락에서 이문건의 『양아록(養兒錄)』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의 『양아록』연구는 역사적 관점이 도외시된 채 교육학과 민속학 분야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단편적인 연구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의 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을 배경으로 이문 건(李文楗)의 아동교육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려 말 신흥사대부들이 보급한 성리학은 조선 전기 정치적으로 이념화되었으며 교학적 성격을 강조하 였다. 다시 말해 성리학은 정치와 윤리 그리고 교육 및 문화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아동교육 역시 이러한 구조의 한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 교육은 입신양명하여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시대 학자들은 학문이란 마음으로 생각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천하여 실현함을 강조하였다. 조선시대 유학자였던 이문건은 스스로 유교 윤리에 따 라 생활했는데, 부모에게 효도하였으며 그 경애하는 마음은 다시 자녀에게로 향했다. 이문건은 『양아록』에서 이러한 유교 사상에 근거하여 아동교육관을 정립하였다. 그는 『양아록』에서 동심(童心)은 외부 환경에 의해 훼손될 수 있으므로 본성을 지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고 보았다. 그 구체적 방법을 유교적 수양 혹은 성찰이라고 보았다. 다시 말해 이문건은 유교에서 말하 는 이(理)를 동심으로 보았으며, 손자가 이러한 동심을 지킬 수 있도록 가르쳤던 것이다. 또한 『양아록』은 할아버지가 손자를 유교적 인물로 키우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조선시대 격대교육관을 살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논문은 조선시대 유교 사상과 교육에 기초하여 『양아록』을 분석하였 으며, 이를 통해 이문건의 아동교육관이 오늘날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다시금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문건의 생애와 저술
 Ⅲ. 『양아록』과 유교 교육관
 Ⅳ. 이문건의 아동교육관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강수연 Kang, Su-Youn. 도서출판밝은비 편집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