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長安 光宅寺 七寶臺의 佛像을 통해 본 佛敎儀禮

원문정보

The Buddhist rites over the Buddha Statues of Qibaotai of Guangzhaisi, Chang'an

장안 광택사 칠보대의 불상을 통해 본 불교의례

배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uangzhaisi Qibaotai was built to commemorate the 677 years Sarira discovered by Empress Wu. Based on the literature feed Qibaotai is that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Buddha statues in stone pillar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interior is fitted in place. Buddha in particular Qibaotai is such statues of Buddha were created with various names and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of the middle Ekādaśamukh are in connection with repentance formality. This point to consider the author estimates that there was a Buddhist ritual that targets the statue of Qibaotai. In this paper, the natur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rites and rituals of the ancient statue of the Buddhist faith at Qibaotai was undertaken to review. Qibaotai is in the Buddha is the purpose and the composition as a religious facility, which is enshrined in the temple space required to perform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worship or separately. However, you can consider the universal method against various Buddhist worship and worship and perform other way to target specific Buddha by certain Buddhist Qibaotai Given the nature of the Buddha. Since Qibaotai is understood to top stone pillar that I was a structure that offers functional way courtesy of pradaksina is guessed. It can be considered as a courtesy Gwanbulsamadhi and Banjusamadhi initial pureland-belief comes through since ancient times as a ritual performed to pradaksina targeting many Buddha. That is, the Buddha of Qibaotai is judged to be made for the purpose of Saints Faith, not the Amitabha of the Tang Dynasty. Courtesy say here is understood that the Buddha is visible everywhere that the current standing right here through Banjusamadhi, look courtesy of the appearance of many Buddhas enshrined targeting samadhi activities being carried out with the chanting while pradaksina and we can guess. So Buddha and Buddhist ritual of Qibaotai is determined that it can not be assumed as a roadbed or ritual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in a pure sense. Because ritual is understood that the objective will have been done in Qibaotai for enlightenment through samadhi covers all departments everywhere, The Buddha 'current charge of all departments everywhere into samadhi' or 'all over the place for all departments of samadhi I think personality.

한국어

光宅寺 七寶臺는 儀鳳2년(677) 武則天에 의해 舍利발견을 기념으로 세워졌다. 『寺塔記』와 불상 造像記를 근거로 칠보대는 실내에 石柱가 마련된 구조물로 많 은 수의 불상이 이곳에 안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특히 칠보대의 불상은 다양한 尊 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운데 십일면관음상의 조성은 悔過儀禮와 관련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필자는 칠보대의 불상을 대상으로 하는 불교의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대 불교신앙의 의례를 살펴 칠 보대의 불교의례와 불상의 성격 및 그 의의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칠보대는 조성 당시 사리의 봉안처로 조성되었으며, 칠보대 불상은 모두 비슷 한 크기로 미륵불과 아미타불, 십일면관음 등과 같이 다양한 존격의 많은 불상이 석주나 벽면에 감입되어 있었다. 칠보대의 불상은 菩提瑞像과 같은 새로운 도상 과 더불어 의좌상의 미륵불과 시무외인의 아미타불상과 같은 고식의 도상이 복잡 하게 섞여 있으며, 일정한 주제나 특정 경전에 의거한 순수한 의미에서의 도상 표 현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칠보대는 사찰 내 불상이 안치되어 있는 종교시설물로, 조성된 목적과는 별개 로 예배나 수행과 같은 종교적 활동이 요구되는 공간이다. 그러나 칠보대 불상의 성격으로 볼 때 당대 善導(613~681)의 灌法과 같이 특정 불상을 대상으로 하는 예 배나 수행법과 달리 다양한 불상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예배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칠보대가 탑으로 이해되고 석주가 마련되어 있는 구조였다고 추정되 기 때문에 칠보대의 기능적 성격으로 이해되는 의례의 방법으로는 繞匝을 들 수 있다. 요잡이 가능한 의례는 고대부터 전해오는 초기 淨土信仰의 觀佛三昧와 般舟 三昧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삼매에 들고자 하는 반주삼매의 佛立三 昧를 통해 현재 시방의 부처가 바로 이곳에 서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의례는 삼매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불상이 안치되고 염불과 함께 요잡을 행하 는 수행법이 짐작된다. 다시 말해 칠보대에서의 종교 활동을 위한 예배 혹은 수행 은 十方諸佛을 대상으로 요잡을 하는 전통적인 수행법을 따르고 있었다고 판단되 며, 이때 칠보대의 불상은 ‘삼매에 들어 現前하는 시방제불’ 혹은 ‘삼매를 위한 시 방제불’의 성격을 가지는 성불을 위한 목적을 造像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칠보대 불상의 도상
 Ⅲ. 唐代 불상과 칠보대 불상의 비교
 Ⅳ. 칠보대의 불상을 통해 본 불교의례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배영진 Bae Youngjin. 영남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