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은퇴연구 패러다임의 추가 : 은퇴인식의 틀과 시간자본

원문정보

The addition of retirement research paradigms : Recognized framework of retirement and capital formation by the time

황덕순, 허균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ssu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aging society connote not only the problem regarding increasing number of elder people but also theoretical/social/political issues. The life quality of in the stage of old age is related to omni-directionalelements of social ecology including individuals. The issue related to life quality of elder peopleis not a problem of a particular individual and period but connotes social expensiveness. Therefore such issue needs be taken into account by the elder people themselves, their family, local society and the nation together. This research has contemplated the contents for developing and establishing various mechanisms in individual and social level to improve life quality of elder people which is for expanding the problems related to elder people from individual level to a problem of entire society. As the life quality of elder people can be imbalanced since aging becomes a burden at individual/social/national levels, we have attempted to contemplate the problems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a comprehensive social level. The satisfaction o f elder people on their life is not led by sorting out economic problem only. Therefore,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dentify the functional meaning of the all-around element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social system and has tried to apply the elements as time asset and theirpractical usability to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elder people. The elements related to life quality in the stage of old age include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s, time asset, correlation-to energy and economic preparation. Further, they have our whole personality as the core value related to our thoughts and activities. Accordingly, the attitude toward life in the stage of old age has been linked to the contents and program as the ‘obligatory & comprehensive preparation’ rather than ‘selective preparation’. Moreover, this paper has contemplated the characteristics of managing mechanisms for quality of life in the social system which can be determined by our efforts and interpreta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life quality in which individualization and uniqueness are harmonized. This is to prove the fact that the life quality in the stage of old age can be guaranteed by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personal individual efforts. As the government of Korea has not establish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related to life quality of elder people, the policies of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and policy makers are being operated separately. Therefore, the issu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needs to be handled through more proactive policy controlling and integration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such issue has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elf-evaluation which combines objective social environment, individual volition, the efforts for revelationof the volition and evaluation on subjective meaning-making for the related processes.

한국어

고령화 사회의 삶의 질의 문제는 단순한 노년층의 인구 증가의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이론적, 사회적, 정책적 문제를 내포 하고 있다. 노령층의 삶의 질 은 개인을 포함한 사회생태체계의 전 방위적 요소와 관련을 갖는다. 노령층의 삶의 질은 특정 개 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사회적 확산성을 내포하고 특정시기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노령층의 삶의 문제적 접근은 노령층 당사자, 가족, 지역사회, 국가가 함께 고민하고 대처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문제가 단순히 개인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로 발전하고 이의 해결을 위 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다양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이 수립되고 개발되어야 할 내 용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령화는 개인, 사회, 국가의 전 공동체적 관점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때 노년층의 삶의 질 불균형이 발생 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경제적 준비의 한계를 넘어서는 삶의 질적 수준의 문제를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고찰 하였다. 노년기 삶의 만족은 경제적 부담 문제의 해결에서 전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회체계 내의 삶의 질의 총합적 관련요소의 기능적 의미를 확인하고, 시간의 자본 요소로서의 성격과 현실적 이용 가능성을 노년기 삶의 질 고양에 적용 하고자 하였다. 노년기 삶의 질의 관계요소는 사회적 관계망과의 질적 수준, 시간자본 에너 지와의 긴밀한 관련성, 경제적 준비를 포함 하며 아울러 우리의 생각과 활동과도 관련되는 핵심가 치로서 전인격적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 삶에 대한 태도는‘선택적 준비’가 아니라 ‘의무적 포괄적 준비’로서 포함되어야 할 프로그램과 내용을 삶의 질과 연계하였다. 개별성과 독특성이 조화된 삶의 질에 관한 정립을 통해 개인의 노력과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사회 생 태체계 내에서 삶의 질 성취 속성을 고찰하고, 자기 몸짓에서 비롯된 의미 총합적 결과만이 노년 기 삶의 질을 보장하게 된다는 것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아직 노년층 삶의 질 관련 영역간 의 상호 연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정부부처를 비롯한 정책 공급자들의 정책이 분절적으로 운영되 고 있다. 그러므로 삶의 질의 문제는 객관적 사회 환경과 개인의 의지의 발현으로서 노력, 그에 함께하는 과정에 대한 주관적 의미부여 평가 등이 어우러진 종합적 자기평가물의 속성을 갖는 점 을 고려하여, 보다 적극적인 정책 조정과 통합으로 노년층의 삶의 질을 제고 할 수 있어야 한다.

목차

요약
 I. 생태환경속의 인간과 삶의 질
  1.1 생태체계와 인간의 행복
  1.2 생태체계내의 능동적 대처
 II. 노년기를 맞이하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2.1 고령화시대와 한국의 사회문화
  2.2 사회통합적 삶의 질
 III. 노년기 자본으로서의 시간
  3.1 노년의 준비와 시간 자본
  3.2 시간과 규모의 경제효과
  3.3 시간자본의 상대성
  3.4 시간자본의 현실적 활용
  3.5 시간자본과 노후직업
  3.6 시간이 주는 자유에너지
 IV. 나로부터 시작되는 노년준비와 삶
  4.1 내가 설정 하는 노년기 삶의 질
  4.2 노년준비의 주체로서의 나
  4.3 나와 다른 생태체계와의 인식의 차이
  4.4 노년준비에 대한 되묻기
  4.5 삶의 질 추구 방법의 문제
  4.6 내가 설정하는 삶의 질, 비교로부터의 자유
 V. 노년기 삶의 질,경제적 준비의 한계를 넘어서
 참고문헌 및 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황덕순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교수
  • 허균석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