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개별주식 옵션 가격 구조에 대한 체계적 위험의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Systematic Risk on the Price Structure of Individual Equity Options in Korea Market

박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systematic risk on the price structure of individual equity options in Korea market. The price structures is represented by the level and slope of implied volatility curves, and the systematic risk is measured by the systematic risk proportion, defined as the ratio of the systematic variance over the total variance. Using daily out-of-the money(OTM) and at-the-money(ATM) option quotes for 12 firms from Oct. 2008 to April 2011, we first demonstrate that across most maturity and moneyness groups, the systematic risk proportion of the underlying asset explains the cross-section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mplied volatilities. Specially, the level effect is robust for the short-term ATM options as analyzed through Fama- Macbeth(1973) 2 pass-regression and panel regression. Second, we find that unlikely to U.S. options market, the slope of implied volatility is not strongly related to the systematic risk proportion of the underlying asset. Fama-Macbeth(1973) analysis shows the slope effect only for ATM options but panel regression resul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slope effect across all groups. Finally, the panel analysis controlling for firm-specific variables shows a unique result that leverage and firm size play better role than the systematic risk in explaining the long-term or OTM call option price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개별주식 옵션 가격 구조에 대한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업별 옵션 가격 구조의 특징은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 곡선의 수준(level)과 기울기(slope)를 통해 관찰되었고, 체계적 위험은 해당 기업의 전체 위험(total risk) 중 체계적 위험이 차지하는 비율로 측정되었다. 2008 월 10 월부터 2011 년 4 월까지의 12 개 기업에 대한 옵션 자료를 잔존만기 및 가격도별로 분류해 그룹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그룹에 있어 체계적 위험 비율(systematic risk proportion)은 내재변동성 곡선 수준의 횡단면적 차이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기 잔존만기의 등가격 옵션의 경우 Fama- MacBeth(1973) 2 단계 회귀분석과 패널 회귀 분석 모두에서 그 계수가 변함없이 유의하여 강건함을 보였다. 둘째, 미국 옵션 시장에서 나타난 결과와 다르게, 체계적 위험 비율은 내재변동성 곡선 기울기의 횡단면적 차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Fama-MacBeth(1973) 분석에서는 등가격 옵션에 대해서만 기울기 효과를 보여주기도 했지만, 패널 분석에서는 모든 잔존만기 및 가격도 그룹에 대해 체계적 위험 비율의 기울기 영향은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기업 특성을 통제한 패널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장기 옵션 또는 외가격 콜옵션의 가격은 체계적 위험 비율보다는 기업 규모(firm size)나 레버리지(leverage)와 같은 기업 특성변수에 의해 그 횡단면적 차이가 더 잘 설명된 것도 국내 시장의 독특한 현상이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자료
 3. 연구 방법론
  3.1. 모형 및 가설
  3.2 체계적 위험 비율의 산출 방법
  3.3 분석 방법론
 4. 실증분석 결과
  4.1 요약 통계량 및 기초 분석
  4.2 회귀 분석 결과
  4.3. 패널 회귀분석 결과
  4.4. 개별기업 특성을 통제한 패널 회귀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표
 그림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정 Yuen Jung Park. 미국 일리노이 대학, 재무학과, 초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