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PE 펀드의 결성과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벤처투자 시장을 중심으로 벤처투자의 수익과 위험 특성(risk profile)을 고려한 세 가지 투자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관투자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경기 변동에 따른 전략은 경기 변동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기관투자자 벤처펀드에 대한 투자(출자) 의사결정을 할 때, 경기 수축기에 투자할 경우 경기 확장기 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결과를 보였으나 이러한 결과는 1999 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한 국내 벤처투자 시장의 미 청산 펀드의 수가 청산된 펀드 수 보다 많아 유효한 수의 자료를 얻을 수 없었던 이유로 인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단정지을 수 없다고 판단된다. 둘째, 최상위 운용사에 대한 선별적 투자전략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펀드 결성연도별 그룹을 설정한 후 기준이 되는 결성연도에서 각 사분위 수익률(quartile return) 범위에 속하였던 창투사들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창투사들의 後行 펀드 (혹은 후속 펀드: 창투사들이 기준 결성연도 이후에 결성한 펀드)가 어느 사분위 수익률 범위에 속하는 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자성과 전이행렬(performance transition matrix)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후속 펀드를 세 번 이상 결성 및 청산한 운용사의 수가 많지 않고 제한된 수의 운용사들에 대한 분석결과 운용성과의 연속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상위 운용사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선별적 투자전략은 국내에서는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개별 PE 펀드에 출자하는 방식이 아닌 PE Fund-of-Funds 에 출자하여 간접적으로 PE 펀드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는 전략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투자 연수의 확대(vintage year diversification)와 투자 대상 펀드 수의 증가에 따라서 분산효과가 나타났고 그 성과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국내 벤처투자 시장에서 4 개 년 동안 매년 9 개 이상의 펀드에 투자하거나 7 개 년 동안 4 개 이상의 펀드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원금의 손실발생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결과를 실증적으로 보고, 세 가지 투자전략 중 국내 실정에 부합하고 분산투자효과가 크며 수익성이 향상된 전략은 PE Fund-of-Funds 를 통한 포트폴리오 투자전략임을 보였다.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론
III. 실증 분석결과
3.1 자료의 구성
3.2 투자전략간 성과 비교
IV. 결론
참고문헌
표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