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s an activity space for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in Seoul
초록
영어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examine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in Seoul, where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work in three different sectors; national, regional, and local. While the central sector has excessively developed, the other two sectors that make the basis of civil society remain underdeveloped. Particularly, the regional sector that links the national and the local is far left behind. Not only being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but also all three sectors are diverse in features. The national sector has experienced an explosive growth, as various non-governmental groups formed and competed each other in this sector. Whereas, the regional sector can be described as ‘unexplored’ space and the local sector, which had long been characterized by the loc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Movement Organization’, demonstrates new changes originated from the recent ‘Community Building Project’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한국어
본 연구는 비정부단체(NGOs)의 활동공간으로서 서울 지역 시민사회의 지형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서울 지역 시민사회는 중앙·광역·기초 세 가지의 구별되는 부문으로 구획된다. 중앙부문이 과도하게 발달한 반면, 저변을 이루는 나머지 부문은 발달이 지체되고 있다. 특히 중앙과 기초부문을 연결하는 광역부 문의 경우 매우 왜소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또한 중앙·광역·기초 세 가지 부문 은 상호 단절적으로 존재하며, 각각 상이한 양상을 띠고 있다. 중앙부문의 경우 다양한 비정부단체군(群)들이 형성되고 상호 경합하는 등 분화가 활성화되면서 폭발적인 성장이 이루어져 왔다. 광역부문의 경우 아직 개척되지 않은 공간에 비 유될 수 있고, 오랜 시간 국민운동단체의 기초 지부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던 기초 부문의 풍경에서는 최근 서울시의 마을 만들기 사업 등을 계기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목차
1. 서언
2. 예비적 논의
1) 선행연구
2) 주요개념: 공간, 지형, 단체
3) 분석틀과 방법
3. 서울 지역 비정부단체들의 기본현황
1) 시공간적 분포
2) 조직적 양상
4. 서울 지역 시민사회의 부문별 지형
1) 중앙부문
2) 광역부문
3) 기초부문
5. 서울 지역 시민사회의 전반적인 특성
6. 결언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