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모수적 또는 비모수적 확률할인요소(stochastic discount factor)를 이용하여 국내 주식형펀 드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모수적 확률할인모형으로서 Sharpe(1964), Lintner(1965), Mossin(1966)의 CAPM 모형과 Fama and French(1992)의 3요인 모형(이하 FF3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비모수적 확률할인모형으 로서 Hansen and Jagannathan(1991)의 무차익 확률할인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펀드평가의 타당성 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수적 모형에 대해 시장일반의 위험-기대수익률간 관계를 대표하는 업종별 포트 폴리오를 이용하여 Hansen and Jagannathan (1997)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FF3모형은 높은 p 값을 보여주었으나 CAPM 모형은 10% 유의수준에서 기각되어 모형설정오류의 위험이 일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비모수적 평가방법으로서 대상자산에 대한 모형설정오류가 없는 무차익 확률할인모형 을 이용하여 펀드성과를 추정하였다. 이 경우 펀드성과추정치는 대상자산인 업종포트폴리오의 매수후 보유전략에 내포된 위험조정할인율로 할인하였을 때의 초과수익률이다. 평가 결과 대상펀드 중 약 80%의 펀드가 양의 초과수익률을 기록하여 수동적 투자전략의 일종인 매수후보유전략보다 나은 성 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T 검정 결과 대부분이 유의하지 아니하여 국내 주식형펀드가 시장의 대체적 투자전략보다 우월한 성과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펀드매니저의 종목선정능력과 시장예측능력을 계량화하여 가상펀드수익률을 생성한 후 이를 확률할인모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모형에서 펀드성과추정치 및 이의 T 통계량이 가상펀드매니저의 투자능력지표인 γ와 선형관계를 나타내어 확률할인모형을 이용한 펀드평 가결과가 사전적 펀드평가결과와 일치하였다. 한편 대상펀드의 성과추정치를 가상펀드의 성과추정치 와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펀드가 중립적 혹은 그 보다 약간 더 나은 정도의 가상펀드에 해당하는 성 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비유의적인 펀드성과추정치 결과와 함께 펀드산업의 우월성보다는 시장효율 성을 보다 지지해 주는 증거로 해석된다.
목차
1. 서론
2. 모형 및 검정방법
2.1 모수적 모형
2.2 비모수적 모형
2.3 검정방법
2.4 펀드성과의 추정
2.5 가상펀드의 설정
3. 자료
4. 검정결과
4.1 대상자산의 기초통계량
4.2 대상펀드의 기초통계량
4.3 확률할인모형의 검정
4.4 가상펀드의 평가결과
4.5 대상펀드의 평가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표
부록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