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환율변동성의 장기 및 단기 비대칭성과 적응적 시장가설

원문정보

The Changes in Long and Short Term Asymmetric Volatility in the Foreign Exchange Rates and the Adaptive Market Hypothesis

김규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asymmetric volati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information inefficiency in the won/dollar, won/yen, won/euro, yen/dollar, euro/dollar from January 1998 to April 2009. If the asymmetric volatility declines over time, it may be interpreted as the information inefficiency declines. This may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Adaptive Market Hypothesis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 marke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entral bank policy, the declination of the asymmetric volatility over time may imply the declination of the impact of the central bank’s action over time. Both of the interpretations may signal the applicability of Adaptive Market Hypothesis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 Market. Empirical study on won/dollar, won/yen monthly data shows that volatility clustering exists but volatility asymmetry does not even after the sub-prime crisis, which clearly shows that Adaptive Market Hypothesis is applicable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 Market. But, for daily data it is found that the mean equation parameters and volatility asymmetry pattern changes after the sub-prime crisis, which clearly shows that daily foreign exchange rate change reflects the incoming information. Especially the asymmetry parameters have negative signs, which implies that dollar and yen are considered as a base currency from won’s point of view. However this phenomenon may also be interpreted as the information efficiency reflecting the sub prime crisi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환율제도가 변동환율제로 변환된 1998년초부터 2009년 4월 까지의 기간을 3년 단위로 4개의 기간으로 나누어서 달러, 엔, 유로화에 대해서 외환시장에 도달하는 정보의 유형이 환율의 장단기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만약 일별자료 에 대해서는 비대칭적 변동성이 존재하는데 비해서 주별자료나 월별자료에 대해서는 비대칭 적 변동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기에는 노이즈 거래가 많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에 대한 적응 정도가 높아지면서 비대칭적 변동성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적응적 시장가설이 성 립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서브프라임사태 이후에 관찰된 일별자료의 비대칭적 변동성의 행태에 변화가 관찰된다면 새로운 생태계의 출현이라는 의미에서 적응적 시장가설이 성립한 다고 볼 수 있다. 일별자료에서와는 달리 월별자료에는 비대칭적 변동성의 행태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제도의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 서브프라임사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는 점에서 적응적 시장가설의 또 다른 측면이 성립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GJR-GARCH(1,1)-M 모형을 이용하여 원/달러와 원/엔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말자료의 경우 자유변동환율제로 바뀐 직후에는 비대칭적 변동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지며 비대칭적 변동성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한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에도 월말자료에서는 비대칭적 변동성을 발견할 수 없어서 외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적응적 시장가설이 성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일별자료에 대한 평균방정식과 분산방정식은 서브프라임 사태 이전과 이후에 뚜렷한 패턴의 변화를 보임으로 써 전혀 새로운 생태계가 출현하고 이에 대한 적응적인 과정이 다시 시작된다는 관점에서 적응적 시장가설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엔/달러와 유로/달러에 대해서 동일한 분석을 해본 결과 선진국들의 외환시장은 이 미 적응적 과정을 거쳐 월말자료에서의 변동성의 비대칭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일별자료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브프라임 사태가 통화의 단기적 행태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새로운 생태계가 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외환시장의 비대칭적 변동성과 적응적 시장가설
 3. 연구방법론
 4. 실증분석결과
  4.1.기술통계분석
  4.2 원/달러 외환시장의 비대칭적 변동성
  4.3 원/엔 외환시장의 비대칭적 변동성
  4.4 원/유로 외환시장의 비대칭적 변동성
  4.5 엔/달러 외환시장의 비대칭적 변동성
  4.6 유로/달러 외환시장의 비대칭적 변동성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규형 Kyuhyong Kim. 중앙대학교 상경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