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별논문

조선 후기 연희의 소통과 향유

원문정보

Communication and Enjoyment of Dramatical Play in the Late Joseon Dynasty

손태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comparison to other times, the late Joseon period was an era full of various types of entertainment. The reason why entertainment became so developed is that the Confucian governing ideology of the ruling elite was weakened with the invasions of the Japan and the china, while the culture of the middle and lower strata started to manifest itself. In addition, the following affairs occurred. First, after the accession of King Injo (1623), the nation no longer conducted Sandehui (산대희; a grand festival that was performed by Gwangdae, etc., using a large mountain-shaped construction as both stage and scenery) was not held for domestic cerebrations. And Naryehui (나례희; the theatrical performances at the end of the year) was no longer held ether. But Mask Play, one element of the Sandehui or Naryehui, could be performed at citizen places. Second, whi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Gwangdae (광대; official and hereditary entertainers in traditional society of Korea) from Gyeonggi province were called upon for the year-end Naryehui in the palace or the Sandaehui in the capital, in the later Joseon period performers from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were also called. Among these, performers from Jeolla, which suffered the least from the two invasions, were the most numerous, and they continued to dominate Gwangdae culture. They became the main entertainers in nation and created our nation's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 - Pansori. Third, in order to gather people, the traders in the marketpla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brought various types of entertainment.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troupes performing a very high pole climbing acrobatics at Bammari in Chogye and Sinbanri in Uiryeong (both south Gyeongsang province), which were centers of commerce. Fourth, the Buddism was mainly relied on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its ceremonies embraced some entertainments that are included in the culture of the commoners. Fifth, since the tax on shamans was maintained until 1895, the ritualst of shamans were performed publicly in the late Joseon too, so their entertaining ment aspects were more strengthened, expanded. When looking at these affairs, the late Joseon period was a time when the culture of the commoners expanded and entertainment played a major role in that culture.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see the communication and enjoyment of dramatical play in the late Joseon period.

한국어

조선 후기는 우리나라에서 어느 때보다도 각종 연희가 발달된 시대였다. 이렇게 조선 후기에 연희가 발달하게 된 이유는 기본적으로 임 ․ 병 양란 후 지배층의 유교적 통치 이 념이 크게 약화된 데 비해 중 ․ 하층의 평민 문화가 대두되기 시작한 데 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특별한 사정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첫째, 조선 후기 인조 즉위(1623) 이후 종래 국가의 큰 경사나 중국 사신이 올 때 행했 던 산대희가 국내의 경우에는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되었다. 또 매년 연말이면 열렸던 궁 궐의 나례희 인조 12년에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이러한 궁궐의 연말 나례희를 주요한 문화적 기반으로 활동했던 본산대 탈놀이패가 이후 민간에서 주로 탈놀이를 공연하게 되었다 둘째, 조선 전기까지만 하더라도 궁궐의 연말 나례희나 중앙의 산대희에 경기도 지역 까지의 광대들이 동원되었는데,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지방의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의 광대들까지 동원되었고, 이중 임 ․ 병 양란의 피해가 가장 적었던 전라도의 광대들이 대규 모로 동원되어 이후 이들 전라도 광대들이 조선 후기의 광대 문화를 주도하게 된다. 이들 전라도 광대들이 중심이 되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연물인 판소리가 만들어진다. 셋째,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로 시장 상인들이 사람들을 모으기 위한 방법으로 시장에 각종 연희들을 동원했다. 상업의 중심지들이었던 경남 초계 밤마리나 의령 신반리에 주 로 근거했던 솟대타기패들인 대광대패들이 그 대표적인 경우다. 넷째, 조선 후기 평민들에 주로 의지했던 불교는 불교의 각종 의식(儀式)들에 이러한 평민 문화를 상당 부분 수용하였다. 다섯째, 무포세(巫布稅)가 1895년까지 시행됨으로 인해 조선 후기에도 무당의 굿들은 공공연히 이뤄져 무당굿의 오락화는 더욱 진행되어 무당굿 속의 연희적 요소들이 더욱 확대되었다. 이러한 상황들을 볼 때, 조선 후기는 평민 문화가 확대된 시대였고, 연희는 그러한 평 민 문화 속의 주요한 한 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조선 후기 연희의 소통과 향유를 바라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조선시대 유학자와 연희
 2. 조선 후기 연희의 소통 공간들
  1) 상층의 행사장들
  2) 시장터
  3) 농ㆍ어촌 마을
  4) 기타
 3. 조선 후기 연희의 연희사적 의의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태도 Son, Tae-Do.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4,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