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EO 교체와 연임에 따른 기업 성과 비교 연구

원문정보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CEO turnover and term-expiration succession

구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examine cause from human resource activity understanding that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campaign doesn't clearly reflect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and firm value improvement. If we consider importance of corporation culture in Korea sociaty, we realize CEO existence in organizat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I examine impact affecting CEO managerial activity on firm value. After considering tenure cycle to see influence affecting on long-term performance, I study performance difference in CEO succession before and after CEO term-expiration. It is generally used annual data of just before year or the end of a year in past study in spite of happening CEO turnover timing irregularly. I use quaterly data to minimize information reflection loss about CEO's long-term performance. I compare firm value profitability with growth between CEO turnover and CEO term-expiration succession after controlling several organization environmental and CEO characteristic variables. I discover in having a high performance after CEO turnover better than term-expiration succession in various results. It appears that corporations prefer term-expiration succession to CEO turnover because of taking a risk. It can be seen not by past financial performance but by relating CEO managerial activity in organization environment. I judge that it is difficult in maintaining revitalization of professional CEO regime in Korea corporation sociaty as long as not having managerial transparency. It appears that owner management is more effective CEO turnover immediately in non-chaebol firm.

한국어

기업 지배 구조 개선 운동만으로 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과 기업 가치 향상이 완전히 반영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때문에 조직 환경내 인적 자원 활동에서 원인을 찾아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기업 문화를 중시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조직 환경속의 CEO 존재의 중요성을 들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CEO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CEO의 안 정된 경영권 확보 유무가 기업의 장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임기 기준으로 임기 도중 교체된 후 CEO의 기업 성과와 경영권을 확보한 이후 연임 기업 성과간 차이를 비교 하였다. 또 CEO 교체 시기가 일정치 않은데도 통상적으로 직전 년도말 또는 당해 재무 성 과로 기업 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순수한 교체와 연임 성과를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 적하고, 정보 반영 손실의 최소화를 위해 교체와 연임 직전 분기 자료를 사용하여 미래 CEO의 장기 성과를 살펴보았다. 각 조직 환경과 조직 환경내 CEO 특성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 교체와 연임 기업의 공시 전후 기업 가치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비교하였다. 기업들은 교체에 대한 위험 부담으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연임을 선택하지만, 전문 경영자 집단에 서의 연임 효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실증 분석 결과에서 교체가 연임에 비해 기업 성과의 비 교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체와 연임 결정 요인은 과거 재무 성과보다는 CEO와 조직 환경 관련 요인이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O의 경영권 안정 확보가 기업 성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소유 경영자 기업이 대부분인 한국 기업 사회에서 경영의 투명 성이 전제되지 않는 한 전문 경영자 체제 정착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벌 기업을 제외한 단일 체제의 비재벌 기업에서는 오너 중심의 경영으로 적시 교체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권의 안정권 확보라는 동일한 조건에서 교체와 연임 모두 수익성이 좋지 않 으나 교체보다는 위험 부담이 낮은 연임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기존 연구의 문제점과 본 연구의 차별성
  1. 기존 연구의 문제점
  2. 본 연구의 차별성
 III. 연구 모형 및 변수 정의
  1. 연구 모형
  2. 변수 정의
 IV. 실증 절차
  1. 자료 선정
  2. 가설 설정
 V. 실증 분석 결과
  1. 기초 통계량 분석
  2. 전체 분석 결과
  3. 추가 분석 결과
 VI.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구본경 Bon-kyung Koo.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박사 과정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