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과 대안

원문정보

Changes of descrip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Gaya in Korean history textbooks since Korea's liberation and Alternatives

이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ya's history had been described restrictively compared to the history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due to preconceptions such as "IMNAILBONBU" of Japanese history fields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since Korea's liberation, there were saltatory developments of descrip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Gaya in its quantity and content in the 5th educational curriculum's textbooks compared to former curriculums. This is why active progress in study of Gaya history through the philology after 1980's based on the archeological performance in Gaya area. History of Gaya did not presented in the side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scription except its political history as adoption of system of categorization history in highschool textbook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ough there was a limit like to the reduction of quantity of Gaya history, there was a remedy lack of description using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picture and maps in 2009's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t is easy to find the limit of description in the national textbooks from 3rd 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it copied prior curriculum's decription of Gaya history. In spite of the development in description of Gaya history since Korea's liberation compared to the early curriculum, it was left behind description of three Kingdoms of Korea.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develop a variety of views. Considering the description of Gaya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in this light, it raises questions that it blur the nature of history education to describe only based on the political history. Gaya definitely existed with Goguryeo, Baekje and Silla during a long time covered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Description of Gaya through cultural point of views overcoming a view of the political history lead to a rich description and saltatory development of ancienty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한국어

일제 강점기를 전후하여 나타난 일본 사학계의 임나일본부설 등 의 선입견으로 가야사는 국사 교과서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보다 제한적으로 서술될 수밖에 없었다.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를 분석 해 본 결과, 5차 교육과정 시기에 집필된 국사 교과서에서 가야사 는 이전 시기의 교육과정에 비해 분량면이나 내용면에서 비약적으 로 발전하였다. 이는 1980년대부터 가야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성 과를 바탕으로 문헌사적으로 가야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7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고등학교 교과서가 분류사 체제를 선 택하면서 가야사는 정치사를 제외한 경제, 사회, 문화적 서술은 제 시되지 못했다. 이를 보완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야사 서술 부분은 이전 교육과정 시기의 가야사 서술보다 비중이 축소되는 한계는 있었지만, 사진자료와 지도 등 보조 자료를 활용하여 부족 한 서술 부분을 보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국정 교과서 시기(3차 교육과정〜7차 교육과정)의 교과 서에서 앞선 교육과정 시기의 가야사 서술 내용을 그대로 서술하 여 국정 교과서 체제의 교과서 서술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 가야사 서술은 초기 교육과정시기에 비해 많이 발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삼국에 비해 뒤쳐진 느낌이 다. 역사 교육의 목적은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키워가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가야사 서술을 바라 본다면 정치사적 접근만으로 역사 사실을 서술하여 역사 교육의 본질을 흐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이 든다. 가야는 분명 삼 국 시대를 아우르는 긴 시기동안 고구려, 백제, 신라와 함께 호흡하 며 공존하였다. 정치사적 입장을 뛰어 넘은 다양한 문화 관점에서 가야사 서술 이 이루어진다면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이 더욱 풍부해지고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구조 체제
 Ⅲ. 가야사에 대한 교과서 본문 서술 내용의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수정 Lee, Su-Joeng. 비산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