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ast North Korean cities have been planned and managed as the space which symbolizes socialism and place of life and refinement that residents’ collective lab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mmunal life are done. However, The general directions of the North Korean cities and city construction that the Kim Jung-un regime seized power have recently changed. North Korea has put establishment of scientist districts and housing provision of scientists and educators that symbolize the knowledge economic era ahead of everything aiming at Pyeongyang’s modernization. It has concentrated on cultural facilities and physical plants which will enhance socialistic civilized country’s position and pursued external changes as the modern city which follows world trends in the public construction field. North Korean cities and city construction focuses on external changes because industrial production systems have not been normalized, internal economic reforms have been delayed, and the limit has not been solved. Therefore, city construction’s directions have been arranged to prepa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which are advantageous to trade openness and public institutions in cities have been commercialized including connection of them to the tourist industry and expansion of commercial facilities.
한국어
과거 북한의 도시는 사회주의 상징 공간이자, 주민들의 공동노동, 공동학습, 공동생활이 이뤄지는 삶과 교양의 터전으로 계획되고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가 집권한 최근 년간 북한의 도시와 도시건설은 그 총적 방향을 달리하고 있다. 북한은 평양시 현대화를 최우선적 목표로 하여 과학자 지구를 신설하고, 지식경제시대를 상징하는 과학자·교육자의 주택공급을 우선시하고 있다. 공공건설부문에서는 사회주의 문명국의 위상을 높일 문화·체육 시설에 집중하고 있으며. 세계적 추세를 따르는 현대 도시로서의 외형적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북한의 도시와 도시건설이 외형적 변화에 치우치는 이유는 산업생산체계가 정상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며, 내부 경제개혁의 지체와 한계가 해결되지 못한 까닭이다. 따라서 도시건설은 대외개방에 유리한 환경과 조건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관광사업과의 연계 및 상업시설의 확충 등 도시 안의 공공시설들을 상품화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도시의 개념과 기능
Ⅲ. 도시건설의 원칙과 방법
1. 산업정책과 도시건설
Ⅳ. 김정은 체제의 도시건설 현황과 특징
1. 지식경제시대의 도시건설: 현대화ㆍ상품화
2. 개방특구 중심의 도시건설: 개방화ㆍ관광화
Ⅴ.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