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간연출에 나타나는 라이프스타일 해석 - 어린이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Life Style Interpretation of Space Presentation - Focused on Children's Design Education -

정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ace design education is a creative education. In the space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space at home. If you feel a sense of belonging arises physiological needs and stability in a home space. And the self-esteem and self-realizatio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Maslow's needs.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Seongbuk-gu, Seoul, J Elementary School Was composed of Grade 5 students(213 peopl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s often 30 to 50 square meters apartment. Class consisted of 30 students 7 classes. For 2 hours to apply a Space design training program. This study has placed the focus on the presentation method than presentation results. How to space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results was found to appear with different needs. Design education is a process of forming a 'visual consumer' as culture education. People living while consuming design in life. so consumer culture is that time lifestyle. If this meeting needs in the lifestyle, the children will feel a sense of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of self-space. Children's design education is life as a commodity consumer representation v makes the lifestyle of that era.

한국어

공간디자인 교육의 핵심적 방향성은 창의성 교육이다. 학습자에게 공간 디자인에 관한 교육과정 중 가장 기본 적인 공간은 주거공간이다. 주거 공간에서 생리적 욕구, 안정적 욕구를 느끼면, 소속감이 생기고 존중과 심리 적 안정이 생겨서 그 속에서 자아실현이 생기는 것이다. 이는 매슬로우의 욕구이론과 연결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서울 성북구 소재 J초등학교 5학년(213명)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지역의 특징은 30-50평대의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타 지역 학교들보다 학생 수가 많았다. 5학년 학생 수도 각 학급당 30명 이 상으로 7반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총 2시간에 걸쳐 연구자가 개발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험하 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활동지는 학생들의 공간 표현에서 완성도를 보려고 한 것이 아니라 공간연출요소를 분석하여 현재의 주생활의 라이프스타일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각각의 욕구의 만족도에 따라 연 출방법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교육은 문화교육으로서 시각적 소비자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학교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모든 사람 들은 시각예술 소비자로서 생활 속에 디자인을 소비하면서 살아간다. 즉, 이러한 소비의 형태가 그 시대 문화 의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준다. 삶의 가치인 라이프스타일 속에서 욕구충족이 되었을 경우, 어린이들은 자기공 간에 대한 만족감과 충족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생활 속에서 소비자로서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디자인의 조기 교육은 적절한 생활 속 상품 소비자로서 그 시대의 라 이프스타일을 잘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배경
  2.1. 어린이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2.2.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
  2.3. 욕구단계이론에 따른 주거공간과 라이프스타일의 관계성
 3. 공간연출디자인과 라이프스타일 해석
  3.1. 연구대상 선정
  3.2. 공간연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3.3. 공간연출 디자인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유경 Jung Yu Kyung. 안양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