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Branding to the Contemporary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 Space Design
초록
영어
This study uncovers the contemporary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 space design by rediscovering its value and meaning. Through this, the contemporary utilization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 space suggests a fresh idea of the space concept, which leads to more diverse, newer styles of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This study begins with finding the alternative solutions for the absence of traditional theater build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 In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 there was no physically established theater architecture, but its space concept can be modified, and expanded. The deep understanding of space and various oriental philosophies contributed to creating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 spaces, and is connected to recent searches for different styles of performing art and design spaces. Therefore, this study organizes and presents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raditional Korean art space design by referring to documented national ceremonies, rituals (‘Koryesa’ etc ) and looks at how the fundamentals of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 design correspond to performing aesthetics and space concept perused by contemporary performing art . Thus, this work connects the traditional performing space’s oriental philosophical value and space concepts with recent social and cultural movements of rediscovering the past and its traditional value, and searches for contemporary utilization in order to answer the demand for new perspectives for performing space and styles.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branding for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 space design through recognizing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 space and presenting it as a contemporary utilizable trend in stage design.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 전통공연공간 디자인의 가치를 살펴보고 새로운 인식을 통해 그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 현대 공연예술계에 공연공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구축하여 실질적인 공연무대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한국 극장사 측면에서의 전통극장 건축물의 부재에 대한 대안을 찾는 데서 출발했다. 한국의 전통 공연공간은 고정의 극장건축은 존재하지 않으나 다양하게 변용, 확장할 수 있는 공간개념을 가진다. 전통공연 공간이 형성된 근저에는 전통건축개념, 동양철학들의 영향으로, ‘공간의 전용성’이나 ‘전일적 공간개념’, ‘유기 체적 공간개념’ 등의 구성원리를 가지며, 이것은 최근 시도되고 있는 탈근대적 형식의 공연예술, 공간 디자인 탐색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공연공간 디자인의 구성원리와 개념을 「고려사」등 원전에 나타난 의례, 국가행사 등의 기록을 통해 정리했다. 그리고 그 구성원리가 현대 공연에서 추구하는 공연미학은 물론 공간개념과 어떻게 부 합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전통공연공간에서 나타나는 관객 참여적, 상징 공간적 특성 및 경계가 없는 개 방, 관객 주체화 등의 현대성과 최근 사회·문화·예술 전반에서 나타나는 과거와 전통에 대한 재발견의 움직임 에서 부각되는 자연주의적 동양철학적 가치나 유기적 공간개념을 전통공연공간에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적 극장공간, 유기체적 공연공간, 탈경계적 무대 등의 현대적 가치에 맞는 공연공간개념으로 정리하였다. 즉 한국전통공연공간 원리를 통해 새로운 공연형태와 인식에 따른 공연공간의 다양한 요구를 충 족시킬 수 있는 현대적 공연공간 디자인의 대안을 마련했다. 그럼으로써 한국 전통공연공간의 의의를 제고하고 현대 공연공간개념과 트렌드에 맞는 무대디자인을 제시하 여, 전통공연공간의 디자인 브랜드화를 위한 가능성을 모색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전통공연공간의 사례
2.2. 전통공연공간의 구성원리
3. 전통공연공간 디자인의 현대성
3.1. 스펙타클(Spectacle)과 관객참여
3.2. 상징(Symbol)과 공간의 확장
3.3. 개방과 관객의 주체화
3.4. 없음(無)과 환경극장적 공간
4. 전통공연공간의 디자인 브랜드화
4.1. 친환경적 극장디자인
4.2. 유기체적 공간디자인
4.3. 탈경계적 무대디자인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