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현용 한글 두벌식 표준자판은 정형화돼 있는 영문 쿼티형 배열에 한글을 그 틀에 딱 맞춰 배치한 것이다. 문자의 배치방법만 정형화된 쿼티형 배열에 맞춘 것이 아니고, 영문 대문자를 입력할 때 쓰는 싶트 키 기능도 한글 쌍자음 5자(ㄲ,ㄸ,ㅃ,ㅆ,ㅉ)와 복모음 2자(ㅒ,ㅖ)를 입력할 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문자배열 형식뿐만 아니라 입력방법까지 똑같이 따라했다. 정형화돼 있는 영문 쿼티형 배열에 자국문자를 그 틀에 맞춰 배치하는 형식은 한글 뿐만이 아니고 다른 언어의 자판에서도 예외 없이 그렇게 했고 또 자판 도입기에는 어느 나라나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 한글을 제외한 전세계 모든 문자는 사실상 전부가 나열식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각 언어의 현용 표준자판에서는 개정할 만한 이유를 딱히 찾을 수가 없다. 그러나, 한글은 전세계 어느 문자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문자체계적 특이성을 갖고 있어, 그러한 문자체계적 특이성을 잘활용하면 문자배치의 완성도도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입력효율 또한 높아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