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consider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tupa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plores that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stupas, as a result of both the transition of pre-Buddhist monuments and the mixture of Vedic, Jaina, and Buddhist tradition, were formed converging with such regional constructions as smasana, aiduka(eduka), Bodhi-ghara, ritual altars, pillars(yupa, skambha, and yasti), and dome-shaped huts. Also, the paper understand that, during the Buddhist period, the implication and function of the stupa were united into a mausoleum, joining hands with the primitive notion of smasana and aiduka(eduka), and then were more developed for the Buddha’s relics, an honorific hut to memorize the Buddha, a shrine for the Buddha, a sacred place in the Buddha’s biography, and a dwelling structure housing the living presence of the Buddha within its relic chamber. The study further shows that the symbolic meaning and functional purposes of the stupa was converged depending on the regional preferences of Vedic monuments and the structural vocabularies of Buddhist sacred sites. Hence, this research shows the stupa was developed with the selective adoption of the pre-Buddhist building types by local preferences, in the preservation of the varied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each locality, and through the employment of universal notions such as a chamber, a mound, an altar, a pillar, a place, and a hut.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스튜파의 상징적 의미가 불교이전의 기념물건축의 변이와 베딕, 자이나, 그리고 불교 관련 구조물들과 결합의 결과로서, 쉬마사나, 아이두카(에두카), 보디가라, 의례제단, 기둥(유파, 스캄바, 야스티), 그리고 돔형주거 등과 같은 지역건축유형과 융합되면서 성립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스튜파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이 쉬마사나와 아이두카(에두카)의 원시적 개념과 결합되면서, 불교시대에는 부처사리를 위한 무덤, 부처를 기념하기 위한 거주처, 부처의 성상을 안치하기 위한 성소, 부처의 생애 속에 등장하는 수행처, 그리고 부처사리(물품)를 보관하기 위한 구조물 등이 하나의 영묘건축물로 통합되었음을 논증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스튜파의 상징적 의미가 부처의 생애와 관련된 신성한 장소의 구조어휘와 베딕시기의 기념물건축의 지역적 선호에 의거하여 다양한 방식 속에서 인식되었음을 증명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서 스튜파의 상징적 의미는 불교이전의 지역적 건축유형의 선택적 채택, 베딕 전통의 다양한 상징적 의미의 보전, 그리고 방, 무덤, 제단, 기둥, 장소, 거주처와 같은 보편적 개념의 통섭을 통해서 전개되어 왔음을 밝혔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NOMENCLATURE: STUPA/MAHACETIYA
  2.1 DESCRIPTIONS IN SANSKRIT SOURCES
  2.2 STUPACONSTRUCTIONINBUDDHIST LITERATURE
 3. KNOWLEGE ON THE SYMBOLIC MEANING OF STUPA AS BURIAL CONSTRUCTIONS
  3.1 STUPA AS SMASANA
  3.2 STUPA AS AIDUKA (EDUKA)
  3.3 MERGINGAIDUKA AND SMASANA INTOSTUPAS
 4. DOMICAL HUTS WITH A STUPA FORM
 5. CONVERGENCE OF VEDIC ALTAR AND BODHI-GHARA INTO THE STUPA
 6.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Kim, Young Ja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